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076.jpg
KCI등재 학술저널

대학생의 전공계열별 스트레스 인지와 대처,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tress Perceptions, Coping and University Life Adjustment of Students in Different Major Fields

  • 93

본 연구는 대학생의 전공계열별 스트레스 인지와 대처, 대학생활 적응 관계를 탐색하고자 시행되었다. 2015년 9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부산시 소재 2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283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립된 자료는 SPSS 2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t-test와 ANCOVA, 다중회귀분석으로 측정하였다. 전공계열에 따른 스트레스 요인의 차이 중 인문사회 계열은 이성 관계, 친구관계, 교수관계, 장래문제, 가치관문제에서 가장 큰 스트레스를 받고 있었으며, 의·간호계열이 학업문제에서 가장 큰 스트레스를 인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대처에서 예체능 계열은 문제 중심적 대처, 사회지지 적 대처, 소망적 사고 대처를 잘하고 있으며, 자연공학계열이나 의·간호계열은 문제 중심적 대처나 사회지지적 대처와 같은 적극적 대처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대상자의 대학생활 적응에서는 대학환경적응은 높은데 비해 학업적응은 낮게 나타났다. 전공계열별 스트레스 요인 중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인문사회 계열에서는 가족관계, 경제문제, 가치관문제가 영향을 주었으며, 자연공학 계열은 친구관계가, 예체능 계열에서는 이성 관계, 가족관계, 교수관계, 장래문제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 간호 계열에서는 친구관계, 가치관문제가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and relations of stress factors and stress coping methods, university life adjustments according to students major field. The subjects are composed of 283 who are attending university in Busan city.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stress perception test, stress coping methods, student adaptation to college questionnaire (SACQ). The question item at the scales was analyzed for their reliability and the collected data was a process for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C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SPSS 22.0.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jor field of art and social science at relationships with the opposite sex, friends, professors, future problem, value problem in their stress factor. Positive university life adjustment included good family relationship, economic compensation, and satisfaction with major. The effective help for increasing university life adjustment must be given to be relieved of stress, the various programs for controlling their stress are required based on this study results.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및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