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호대학생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Happiness in Nursing Students
- 김지인(Ji In Kim) 김윤경(Yoon Kyung Kim) 조영미(Yeong Mi Jo)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8 No.2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6.04
- 1137 - 1149 (13 pages)
본 연구는 일 대학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대인관계, 자기효능감, 자아탄력성 및 행복감에 대해 알아보고 관련성을 규명하고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일 지역 소재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 257명으로 자료수집은 2015년 11월 2일부터 11월 6일까지 진행되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 검정,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정도는 200점 만점에 평균141.18(±17.30)점, 자기효능감 정도는 40점 만점에 평균 27.07(±4.43)점, 자아탄력성 정도는 56점 만점에 40.79(±6.43)점, 행복감 정도는 가능한 점수 범위인 -21~42점에서 평균 14.9(±8.55)점이었다. 행복감은 대인관계(r=.372, p<.001), 자기효능감(r=.372, p<.001), 자아탄력성(r=.481,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자아탄력성(β=.285, p<.001), 자기효능감(β=.258, p<.001), 대인관계(β=.075, p=.011) 순이었으며, 이들 변수의 행복감에 대한 설명력은 30.7%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 자기효능감, 대인관계를 향상시키고, 간호대학생의 행복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을 제언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ship amo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lf-efficacy, ego-resilience and happiness. A convenience sample of 257 nursing students was surveyed from November 2th 2015 to November 6th 2015.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WIN 18.0 program with descriptive analysis, t-test, one-way ANOVA,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scor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as 141.18±17.30 (max 200), self-efficacy was 27.07±4.43 (max 40), ego-resilience was 40.79±6.43 (max 56), happiness was 14.9±8.55 (max 42). Th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a interpersonal relationships (r=.372, p<.001), self-efficacy (r=.372, p<.001), ego-resilience (r=.481, p<.001) and happiness. Factors that had an influence on happiness include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β=.075, p=.011), self-efficacy (β=.258, p<.001), ego-resilience (β=.285, p<.001). These factors explained 30.7% of the variance in nursing students happiness. Considering results, the way to improve happiness consider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elf-efficacy, ego-resilience is required. Finally, we suggest a study to develop program to improve happiness for the nursing students.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