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부지역 초, 중학생의 심폐소생술과 자동제세동기 수행자신감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Self-confidence to Perform CPR and AED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of Some Regions
- 권혜진(Hyejin Kwon) 류승희(Seunghee Ryu) 이혜숙(Heasook Lee)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8 No.2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6.04
- 1093 - 1108 (16 pages)
본 연구는 일부지역 초, 중학생의 심폐소생술과 자동제세동기 수행자신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경기도 S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2개교, 중학교 1개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교 5, 6학년과 중학교 1학년 학생 524명의 설문조사자료를 SPSS/WIN 21.0 프로그램으로 기술통계, ANOVA,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초등학생의 심폐소생술과 자동제세동기 수행자신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심폐소생술과 자동제세동기 관련 태도, 실습을 통한 심폐소생술 교육형태, 자동제세동기 교육유익정도와 인식정도, 지하철역에 설치된 자동제세동기를 본 경험이었으며, 중학생의 경우 심폐소생술과 자동제세동기 관련 태도, 청소년 단체에서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은 경우, 동영상을 이용한 자동제세동기 교육형태, 자동제세동기 인식정도에 따라 심폐소생술과 자동제세동기 수행자신감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의 구분 없이 심폐소생술과 자동제세동기 수행자신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심폐소생술과 자동제세동기 관련 태도, 실습을 통한 심폐소생술 교육형태, 자동제세동기 교육경험, 소방서나 적십자사 교육을 통한 자동제세동기 인식경로, 자동제세동기 인식정도, 지하철역에 설치된 자동제세동기를 본 경험이었고,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48.1%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심폐소생술과 자동제세동기 수행자신감 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효과에 대한 추후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This study investigated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ttitude and self-confidence to perform CPR and AED, and analyzed factors influencing self-confidence to perform CPR and AED. The participants were 524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5th and 6th grade and in middle school 1st grade in Gyeonggi-province. The survey data was analyzed with SPSS/WIN 21.0 program. Factors influenc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confidence to perform CPR and AED are attitude regarding CPR and AED, types of CPR through practice, perceived usefulness and awareness of AED, experience of watching AED at subway station. In case of middle school students, attitude related to doing CPR and AED, and experience of receiving CPR education by youth program, education method using VOD, degree of recognition of the AED effects on the self-confidence to perform CPR and AED. As a result, regardless of students’ grade, factors influencing self-confidence to perform CPR and AED are attitude, CPR education method through practice, experience of learning AED, AED awareness through fire station or red cross education, degree of awareness of AED, experience of watching AED installed at subway station. These variables showed explanatory power of 48.1%. This study suggests developing education program to promote self-confidence in performing CPR and AED, a research is required.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