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 중년남성의 건강검진 수진 예측요인
제6기 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 박경연(Kyung-Yeon Park) 안혜경(Hye-Gyung An)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8 No.2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6.04
- 1035 - 1049 (15 pages)
본 연구는 한국 중년남성의 건강검진 수진 예측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질병관리본부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1차년도 2013년 현재 한국에 거주하는 중년남성 중 층화집락표본추출방법으로 표집된 1,057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복합표본분석(complex sampling analysis)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들의 평균연령은 50.47세(S.E=0.267)로 최근 2년 이내에 건강검진 수진을 한 대상자는 전체의 73.7%(S.E=1.7%)였다. 복합표본설계 로지스틱 회귀분석(surve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결과, 한국 중년남성들의 건강검진 수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체중변화(OR=2.009, CI=1.037-3.895, p=.039), 이상지혈증 여부(OR=2.340, CI= 1.156-4.740, p=.019), 지각된 스트레스(OR=0.373, CI=0.155-0.895, p=.027), 음주량(OR=0.432, CI= 0.231-0.805, p=.009), 흡연여부(OR=0.603, CI=0.399-0.913, p=.017), 교육수준(OR=1.713, CI=1.124 -2.609, p=.013), 가구소득(OR=2.502, CI=1.601-3.911, p<.001)이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한국 중년남성의 건강검진 수진은 개인적 요인 외에도 경제적 요인이 의미있는 관련요인으로 나타나, 일방적인 건강검진 수진 홍보나 권유 외에 경제적 취약자들의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위한 사회적 여건과 지지체계가 필요하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that influence health examination for middle-aged men in Korea. A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with 1,057 middle-aged men. Data from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 conducted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were examined and analyzed using complex sampling analysis methods by SPSS version 22.0 program. The mean age of subjects was 50.47 (S.E=0.267) years and 73.7% (S.E=1.7%) of subjects overall by the health examination within the last two years. I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 examination were change of body weight during last a year (OR=2.009, CI=1.037-3.895, p=.039), hypercholesterolemia (OR= 2.340, CI=1.156-4.740, p=.019), perceived stress (OR=0.373, CI=0.155-0.895, p=.027), drinking frequency (OR=0.432, CI=0.231-0.805, p=.009), smoking (OR=0.603, CI=0.399-0.913, p=.017), education level (OR=1.713, CI=1.124 -2.609, p=.013), household monthly income (OR=2.502, CI=1.601-3.911, p<.001).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provide a basis for strategy in consideration of associated factors which influence on the health examination in middle-aged men.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