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혈중 카드뮴 농도와 폐기능 중증도의 연관성
On Relevant between Blood Cadmium Levels and GOLD Stage: Based on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HNANES) 2008 - 2013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8 No.3
- : KCI등재
- 2016.06
- 1303 - 1311 (9 pages)
중금속은 비중이 4.0이상의 무거운 금속원소로서, 신체기능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구리, 아연 등과 몸에 해로운 수은, 납, 카드뮴 등이 이에 속한다. 본 연구는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미치는 중금속 중 카드뮴에 장기간에 걸쳐 저농도로 노출된 일반인을 대상으로 혈중 카드뮴 농도와 폐기능 중증도의 연관성을 평가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2008년부터 2013년까지의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40세 이상의 5,037명을 대상으로, 폐기능 중증도를 GOLD 기준에 따라 분류한 후에, 혈중 카드뮴 농도와 폐기능 중증도의 연관성을 부분 비례오즈모형을 사용해서 검증하였다. 그 결과, 혈중 카드뮴 농도가 증가할수록 Normal stage에 비해 Moderate stage(OR, 1.250; 95% CI: 1.052-1.448)나 Mild stage(OR, 1.187; 95% CI:1.019-1.355)가 될 가능성이 높았다. 즉, 혈중 카드뮴 농도가 증가할수록 폐기능이 떨어짐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에 의해, 장기간에 걸쳐 카드뮴에 저농도로 노출된 일반인들의 폐기능이 혈중 카드뮴 농도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본 논문은 저농도로 카드뮴에 노출된 일반인들의 건강상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호흡기 질환을 예방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Heavy metals are 4.0 or more heavy metal elements, that include copper and zinc which are essential to maintaining body functions and mercury and cadmium which are harmful to human bod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relevance between blood cadmium level and lung function of people who have been exposed to cadmium, which is one of the harmful heavy metals, within normal range level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is study, using the sample of 5,037 people over the age of 40 based on the data of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from 2008 to 2013, used the partial proportional odds model to verify the relevance between blood cadmium level and lung function. When stratified by GOLD classification, blood cadmium levels were associated with and increased risk of moderate stage (OR, 1.250; 95% CI: 1.052- 1.448), as well as mild stage (OR, 1.187; 95% CI:1.019-1.355). In other words, the increase of blood cadmium level was associated with the reduction of lung function. This result shows that lung function of people was affected by daily-life exposure to lead within normal range level over a long period of time. Hence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prevention of respiratory disease by identifying the health of the public exposed to cadmium within normal range level over a long period of time.
1. 서론
2. 연구방법
3. 분석결과
4.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