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학술저널

증거기반 실제의 질적 지표에 근거한 자폐성장애인 상황이야기 중재 단일대상연구 문헌분석

Analysis of Single-Subject Research on Social Stories for People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based on Quality Indicators of Evidence-Based Practices

  • 2,052
커버이미지 없음

본 연구는 국내에서 단일대상연구를 적용한 자폐성장애인 상황이야기 중재연구가 증거기반실제(Evidence Based Practice)에 부합하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질적지표에 의거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자폐성장애인을 위한 상황이야기 중재가 국내에 최초로 발표된 2000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학술지에 게재된 상황이야기 중재 단일대상연구 23편을 분석하였다. 중재연구의 일반적 특성은 ①연구대상 특성, ②방법론적 특성, ③독립변인, ④종속변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증거기반 실제에 부합하는 정도는 Reichow 등(2008)이 제시한 질적지표에 근거하여 단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중재의 일반적 특성 분석 결과, 첫째, 국내 상황이야기 중재는 6~11세 이하 연령의 초등학생 및 경증장애 아동에게 가장 많이 적용되었으며, 둘째, 상황이야기 중재연구는 특수학급과 클리닉(센터)등 주로 제한적인 환경에서 적용되고 있었다. 셋째, 상황이야기 중재는 주로 다른 중재들과 결합되어 사용되었으며, 넷째, 주요 종속변인은 사회적 상호작용이 가장 많고, 문제행동과 의사소통이 그 뒤를 이었다. 그 다음 증거기반 실제의 질적 지표에 근거한 분석 결과, 분석논문 중 증거기반 실제의 ‘높음’ 수준에 해당하는 연구는 없었고, ‘적절함’ 수준은 14편(60.9%), ‘미흡함’ 수준은 9편(39.1%)으로, 이는 국내 상황이야기 중재연구가 증거기반 실제의 상위 수준인 ‘과학적 기반의 실제(Established-EBP)’에 해당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논의에서는 자폐성장애인 상황이야기 중재연구의 질적 측면에서 증거기반 실제 수준을 제고하기 위한 세부 요소를 검토하고 향후 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an analysis with qualitative indicators to determine whether Social Stories research for autism spectrum disorder(ASD) conducted in Korea with the single-subject research is consistent with evidence-based practice. For this purpose, journal articles from 2000 to 2019 were systematically searched via research databases, and a total of 23 studies were chosen based on criteria for this study. General research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classifying them in four categories; subject characteristics,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The degree of conformity with evidence-based practice was analyzed through a multi-step process based on the qualitative indicators presented by Reichow and colleagues (2008). The result of the analysis based on qualitative indicators of evidence-based practices found no studies corresponding to “Strong” levels of the rigor of research reports, 14 studies(60.9%) with “Adequate” levels, and 9 studies(39.1%) with “Weak” levels. These results of evaluation of research report regor can be assessed as “established evidence-based practies(E-EBP)”, which is the highest level of evidence-based practice. The discussion reviews factors that enhance the level of evidence-based practice in terms of the quality of Social Stories for ASD and suggest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0)

(0)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