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등학생의 스트레스 대처행동 영향 요인
Factors Influencing Stress Coping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강승희(Seung Hee Kang) 김윤희(Yun Hee Kim)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7 No.6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5.12
- 3357 - 3373 (17 pages)
본 연구는 초등학생들이 지각한 자기효능감, 사회적 지지, 가족 건강성이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는 B시 소재 3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44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분석 및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행동에는 자기조절 효능감(β=.473, p<.001), 가족의사소통(β=.108, p<.05), 친구지지(β=.108, p<.05), 자신감(β=.089, p<.05), 교사지지(β=.097, p<.05)가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공격적 스트레스 대처행동에는 자신감(β=-.256, p<.001), 교사지지(β=-.162, p<.01), 가족문제해결(β=-.158, p<.01), 자기조절효능감(β=.115, p<.05)이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소극적 스트레스 대처행동에는 자신감(β=-.479, p<.001), 부모지지(β=-.147, p<.01), 과제난이도(β=.110, p<.05)가 영향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추구 스트레스 대처행동에는 친구지지(β=.213, p<.001), 가족가치체계(β=.168, p<.01), 교사지지(β=.157, p<.01)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서 초등학생이 스트레스 상황을 긍정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자기효능감과 자신감을 높일 수 있는 교육적 프로그램 제공 및 사회적 지지를 높게 지각할 수 있는 분위기를 형성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stress coping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440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multiple regression by using the SPSS 21.0.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self-regulatory efficacy exerted the highest influence, followed by communication skill within a family, friend support, self-confidence, and teacher support in that order for active stress coping behaviors, self-confidence exerted the highest influence, followed by teacher support, family-oriented problem solving ability, self-regulatory efficacy in that order for aggressive stress coping behaviors. And self-confidence exerted the highest influence, followed by parent support, task difficulty preference in that order for passive stress coping behaviors, friend support exerted the highest influence, followed by family values in common, teacher support in that order for social support seeking stress coping behaviors. For the positive improvement of student s stress coping behaviors ability, intervention program for encouraging the self-efficacy, social support, family strengthens are necessary for elementary students.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