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 수업 자체점검지표의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Index for Course Accreditation in University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1 No.1
- : KCI등재
- 2009.02
- 413 - 424 (12 pages)
본 논문은 대학에서 현행 강의평가제도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수업에서 교수자와 학습자의 자발적인 수업점검과 개선을 지원하기 위해 대학 수업 자체점검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국내외 36개 대학의 강의평가 문항을 분석하여 대학 수업인증 자체점검지표의 예비도구를 마련하였고, 국립 C대학의 교수자 227명과 학생 7,476명을 대상으로 문항 개발을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체점검지표안을 개발하였다. 연구의 결과, 가르침 영역에는 28문항, 배움 영역에는 14문항의 대학 수업인증용 자체점검지표가 개발되었다. 개발된 수업인증 자체점검지표의 문항은 적절한 기준(3점 이상)에 의하여 추출되었으며, 수업에서 바람직한 수준으로 문항의 수준을 설정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수업인증 과정의 하나인 자체점검기간 중 교수자와 학습자가 우수한 수준에 도달하기 위해 상호 협력하고 준비하는 단계의 수업관찰지표로서 사용될 수 있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index by which as an instructor and a student, the professor and the learner in university could check for their courses for themselves. The index could help to resolve currently used system of course evaluation and lead the professor and the learner both to check their courses on their own. In this study 36 universities home and abroad were involved in the analysis of their course evaluation to prepare a preliminary tool of self-check index of course accreditation, while 227 of professors and 227 students from C national university were investigated to develop the items. As a result, in the field of instruction, 28 items, learning, 14 items were developed. The developed index is considered good (3 points), which is considered desirable for class. The index developed in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instructional observation index by which the instructor and the learner could inter-cooperate to reach a higher point during the period of self-check as a process of course accreditation.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