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관성을 반영한 부도예측모형의 적합성검증
Credit Risk Model Validation with Correlated Binomial Distribution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1 No.1
- : KCI등재
- 2009.02
- 327 - 338 (12 pages)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론에 의한 경기침체가 국내 경기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기업들은 긴축재정을 원칙으로 하면서도 리스크관리에는 상대적으로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 이럴 때일수록 기업의 특성을 반영한 정확한 모형구축과 효율적 운영 그리고 사후검증이 무엇보다도 절실히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신용평가모형의 적정성 여부를 살펴보는 적합성검증의 양적검증에서 모형의 예측력을 검증하는 방법 중 하나인 이항검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바젤위원회에서는 이항검정을 위해 부도차주간 독립인 경우와 부도차주간 상관이 있는 경우로 나누어 검정방법을 제시하였는데 이 방법들은 부도차주수의 임계치가 지나치게 보수적으로 또는 관대하게 추정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부도차주간 상관이항분포를 가정함으로써 기존 바젤위원회에서 제안하는 방법과 비교하고 보다 개선된 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상관계수를 변화시켜가며 각 모형의 95%, 99% 신뢰상한값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Subprime mortgage crisis of the United States brings about the Korea financial crisis. Although most organizations make a principle to tighten their belts, they do not save their money to support risk management. At this moment, it is urgently needed to built a credit risk model reflect present condition of organizations, efficient model management and use-test. In this work, we investigate the binomial test, one of the method to validate predict performance of the credit risk model. Basel Committee on Banking Supervision (BCBS) suggests two types of testing method about the binomial test. One is the independent binomial test and the other is the binomial test with correlation. However, the first produces conservative critical value and the last gives very generous one. To solve this problem, we suggest correlated binomial distribution and show better result compared with the established two methods. We also examine the 95%, 99% upper bound’s behavior by increasing correlation coefficient and compare three testing methods.
1. 서론
2. 검정방법
3.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