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034.jpg
KCI등재 학술저널

성인의 운동행위 유지와 영향요인

Exercise Adherence and Influential Factors in Adults

  • 8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의 운동행위 유지정도를 확인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자기 결정성 이론에 근거하여 규명함으로써 운동행위 유지를 증진시키기 위한 전략 개발 시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J시 및 그 인근 지역에 거주하며, 지난 6개월 간 신체활동에 장애가 없었던 성인 221명이었다. 2007년 9월 10일부터 10월 29까지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자율성 지지, 자율적 동기, 타율적 동기, 유능성, 관계성 및 운동행위 유지를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와 단계적 다중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의 운동행위 유지 정도는 평균 2.98 ± 1.76점(범위: 1-6점)이었다. 운동행위 유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변수들은 자율적 동기, 유능성, 관계성, 및 연령이었고, 이들 변수 중 자율적 동기가 10.1.%로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Self determination theory(Deci & Ryan, 1985, 2002) was applied to explore the influential factors of adherence to exercise in adults. The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221 adults. Participants completed a brief structured questionnaire on measures of autonomy support, autonomous motivation, controlled motivation, competence, relatedness and adherence, all specific to exercis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by the SPSS 12.0 program. The average score in the adherence to exercise was 2.98(range: 1-6 score). The adherence to exercise showe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autonomy support, autonomous motivation, and competence. The predictors of the exercise adherence were autonomous motivation, competence, relatedness, and age. Study results demonstrate the importance of autonomous motivation in predicting the adherence to exercise. Therefore when developing a exercise program, it is important to emphasize autonomous motivations.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