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수학능력시험 통계자료를 활용한 성별 학력특성 비교
A Study on the Gender Differences in Achievements Using the Data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s
- 황형태(Hyungtae Hwang) 김은비(Eunbie Kim)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1 No.2
- 등재여부 : KCI등재
- 2009.04
- 1015 - 1026 (12 pages)
교육환경에 있어서 우리 사회의 성 차별적 요소는 매우 빠른 속도로 해소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제는 외형적인 교육환경의 양성평등 추구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각 성별로 나타날 수 있는 학력특성을 추출하여 이를 바탕으로 각 성별로 적합하고 특성화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보다 적극적 접근이 필요한 시점으로 판단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학습에 있어서 각 성별로 어떤 특성을 갖고 있는지를 면밀하게 파악하는 일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대학에 진학하려는 대부분의 수험생들이 응시하게 되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은 학생들의 학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데 통계적으로 매우 유용한 자료를 제공한다. 이 논문에서는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통계자료를 학업성취도 분석의 도구로 활용하여 최근 우리나라 대입수험생들의 성별 학력특성을 비교분석해 보았으며, 그 결과 여학생들은 언어와 외국어(영어)영역에서, 남학생들은 수리영역에서 상대 성에 비해 평균적으로 우수한 경향이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work, the gender differences in achievements are studied using the data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s. Among all the subjects i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we only consider subjects related to Korean language, mathematics, English, sociology and natural sciences. As a results of this work, it can be found that the mean scores of boys are higher than those of girls in the subjects of mathematics, history, geography, physics and chemistry, while the mean scores of girls are higher than those of boys in the subjects of Korean language, English, ethics, law and biology. It must also be noted that boys reveal the superior performance to girls especially in the first class of each compulsory subject, irrespective of the gender subject means.
1. 서론
2. 자료 개요 및 평균적 관점에서의 성별학력특성 비교
3. 상위권에서의 성별 비교
4.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