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036.jpg
KCI등재 학술저널

여자농구선수의 무산소성 운동능력 평가를 위한 윈게이트 테스트와 요요 테스트의 상관분석

The Field Test Program to Evaluate Female Basketball Players’ Anaerobic Ability

  • 6

본 연구는 농구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해 가장 효과적인 필드 테스트 프로그램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실에서는 무산소성 능력측정을 위한 윈게이트 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필드 테스트를 위해서는 요요 테스트 3가지 방법(1, 2, 3)의 프로그램을 5년 이상 선수 경험이 있는 여자 고등학생과 대학생 2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처리는 실내테스트인 윈게이트 테스트와, 필드 테스트인 요요 테스트간의 효과검증을 위하여 상관분석과 정준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윈게이트 테스트와 요요 테스트 1, 2 요인간의 상관관계를 볼 때, 이동횟수, 총 이동거리, 총운동시간, 젖산운동직후는 각각 무산소성능력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젖산운동직후, 총 이동거리는 무산소성능력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준상관분석 결과에서는 모두 유의수준(p<.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the most effective field test program to improve basketball game performance. For this, the Wingate test has been conducted in a lab to measure the anaerobic tolerance capability while three different types of yoyo test program(1, 2, 3) have been carried out for a field test on 24 high school and college female students with the five years or more experience as professional athletes. Correlation analysis and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have been used as a tool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between the Wingate test as indoor test and the Yoyo test as a field test. Here is the result of the tests. When it comes t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Wingate test and the Yoyo test of 1 and 2, the number of movements, total distance of movement, total exercising hours and lactic acid exercise, respectively have shown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anaerobic exercise capability. In particular, immediately after a lactic acid exercise, the total distance of movement has turned out to have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he anaerobic exercise capability while neither has been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as a result of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