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RIO를 이용한 부산지역 금융중심지 지정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Economic Ripple Effect on Busan Financial Center using Muti-Regional Input-Output Model
- 주수현(Soo Hyeon Joo) 이선영(Sun Young Lee)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1 No.3
- 등재여부 : KCI등재
- 2009.06
- 1523 - 1536 (14 pages)
2009년 1월 21일 금융위원회는 서울의 여의도와 부산의 문현혁신지구를 금융중심지로 지정하고 지원하기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현금융중심지의 영향력을 다지역 산업연관모형(multi- regional input-output model)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MRIO의 기술계수는 RAS방식을 적용하였으며, 교역계수는 엔트로피 극대화모형을 이용하여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문현혁신지구의 금융중심지 개발사업에 따른 총생산유발액은 2조 3억원, 총부가가치유발액은 9,600억원, 총취업유발인원과 총고용유발인원은 각각 2만 2,693명, 1만 7,886명으로 나타났다. 부산지역의 총생산ㆍ부가가치유발액과 총취업ㆍ고용유발인원에 대한 비중이 약 60%이상으로 직접투자가 이루어진 지역에 파급효과가 크게 나타나지만 지역간 연계효과에 의하여 투자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남, 울산, 기타 지역에서도 발생하였다. 이는 부산지역의 생산물이 타지역 생산의 중간투입물로 수요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생산유발효과와 부가가치유발효과 간의 비중 차이는 해당지역별 산업구조적 특성에 기인하여 나타났다.
Yeouido in Seoul and Munhyeon in Busan will be given state support as financial centers,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announced 21 January 2009. To analyze the influencing power, Munhyeon financial center was applied and examined by Multi-Regional Input-Output(MRIO) model. RAS formula was applied for technical coefficient of MRIO Table. Trade coefficient was made using Maximum Entropy method. The result of the economic analysis reveals that the efficiency of the output against the investment is proved very high. The development project could generate 2 trillion 300 million won of output, 960 billion won of added value and 17,886 persons of employment. The economic ripple effect can be presented differently in Busan and outside Busan region because the industrial structure, input structure, the extent of connection are different.
Ⅰ. 금융중심지의 개념과 선정의 의미
Ⅱ. 부산지역 금융산업의 위상과 경쟁력 분석
Ⅲ. 동남권 금융산업 연관분석 방법론
Ⅳ. 금융중심지 비용 구조 및 개발효과 분석
Ⅴ. 요약 및 정책함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