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동패널조사의 가구자료를 이용한 주택수요 추정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Housing Demand in Korea used Housing Data of Labour and Income Panel Survey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1 No.4
- : KCI등재
- 2009.08
- 2025 - 2040 (16 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노동패널조사 가구자료와 M-W확장모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주택수요를 추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노동패널조사 가구자료가 지역적 대표성에 큰 문제가 없는지를 확인하였다. 모형을 확장하기에 앞서 M-W 기본모형을 설정하고, 노동패널조사를 이용하여 주택수요를 추정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적용가능성에 확인하였으며, 가계조사자료의 결과와 거의 유사한 형태를 보임으로써 적용 가능하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이후 모형의 안정성을 진단하기 위하여 연차별 회귀계수의 95%신뢰구간을 산출하여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노동패널조사와 M-W 모형을 이용한 주택수요추정에 문제가 없다는 결론을 내리고 모형을 확장, M-W 확장모형을 구축하여 주택수요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M-W 확장모형에 추가설명변수로 사용된 항상소득과 주거비용은 모두 예상되었던 부호를 보였으며, 항상소득의 계수가 주거비용에 비해 크게 추정되었다. 이는 우리나라의 주택수요는 소득에 큰 영향을 받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M-W 확장모형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주택수요를 산출한 결과 1,387만 호가 도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housing demand in Korea using an expended M-W model and the Korea Labou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data. First, we check the regional representativity of households’ data of KLIPS for this. We set a basic M-W model before expanding the model, and confirm the applicability of estimation of housing demand using KLPIS data, which results in that it can be available since the result is similar to one of the preceding study using Korea household survey data. In order to examine the stability of the basic model, then, we calculate 95% confidence intervals of coefficients of the regression model year by year. We obtain the availability of housing demand estimation based on a M-W model using KLIPS data, and expand the basic model into ‘an expanded one’ to include ‘permanent income’ and ‘housing cost’. The result shows that each of the two additional variables, permanent income and housing cost, which are used in the expanded model, has an expected sign and the coefficient of permanent income is estimated more largely than the one of housing cost. It means that housing demand in Korea is highly affected by income. The housing demand in the entire country is finally estimated at 13.87 million dwellings using the expanded M-W model.
1. 서론
2. 주택수요 선행연구
3. 추정모형
4. 추정자료 및 추정방법
5. 추정결과
6.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