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기상황 스트레스 해소 교육 프로그램 제작을 위한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분석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alysis in Korean Fire Officers for the Critical Incident Stress Debriefing Program Development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1 No.4
- : KCI등재
- 2009.08
- 1923 - 1937 (15 pages)
본 연구의 목적은 소방공무원이 현장에서 겪는 충격 스트레스로 발생하는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분석을 통해 위기상황 스트레스 해소 교육 프로그램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는 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독립변인(업무부담감,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응) 3개, 매개변인(현장충격 스트레스) 1개, 종속변인(신체적 증상)으로 구성하여 영향력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는 전국 970명 소방공무원으로 2007년 3월부터 12월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4.0과 AMOS 7.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였으며, 정확한 코딩데이터의 입력확인을 위해 데이터클리닝(data cleaning) 작업을 실시하였다.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정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과 Cronbach’s α 검증을 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고, 각 요인에 대한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계한 연구가설은 선행 연구의 이론적 근거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업무 부담감과 스트레스는 현장충격 스트레스에, 업무부담감, 스트레스, 현장충격스트레스, 스트레스대응은 신체적 증상에 영향을 줄 것이다. 가설검증을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한 결과, 업무부담감, 스트레스, 현장충격 스트레스가 낮고, 스트레스 대응이 높을 때 신체적 증상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alysis in Korea fire officers for the critical incident stress debriefing program development. In order to obtain the purpose, following variables were used; 3 independent variables(work burden, stress, stress response), 1 intermediating variable(on-scene stress), and 1 dependent variable (physical symptoms). The respondents were 970 fire officers in Korea from March to December in 2007 by using questionnaires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Data was analyzed by SPSS 14.0 and AMOS 7.0 programs. Data cleaning was done for the exact data input. For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ronbach’s alpha were analyzed. The general peculiarity of the respondents was shown by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analysis. In order to fulfill this study, the researchers proposed the hypothesis as follows : Work burden and stress will influence upon on-scene stress. Work burden, stress, on-scene stress and stress response will influence upon physical symptoms. Through the structured equation model analysis, the lower the level of work burden, stress and on-scene stress was, the lower the level of physical symptoms became. On the other hand, the higher the stress response was, the lower the level of physical symptoms became.
1. 서론
2. 연구모형과 가설설정
3. 연구 결과 및 고찰
4.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