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결혼이민여성의 산후 자가 간호 지식과 신생아 양육 지식 정도
A Study on the Level of Postpartum Self Care Knowledge and Newborn Baby Care Knowledge of Immigrant Women
- 김연아(Yeon Ah Kim) 최소영(So Young Choi)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1 No.4
- 등재여부 : KCI등재
- 2009.08
- 1883 - 1894 (12 pages)
본 연구는 결혼이민임신여성을 대상으로 그들의 산후 자가 간호 지식과 신생아 양육 지식정도를 파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본 연구 대상자는 일부 지역의 2개 산부인과 전문병원과 1개 대학 병원 산부인과 외래를 방문한 결혼이민임신여성과 1개 결혼이민자 여성 지원 단체, 1개 출입국 관리사무소, 1개 국제결혼 중개소 등에 등록되어 있는 결혼이민여성 184명이었다. 본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 중 산후 자가 간호 지식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변수는 나이, 교육정도, 배우자 나이, 한 달 수입, 가족형태였다. 일반적 특성 중 신생아 양육 지식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변수는 나이, 입국 전 국적, 학력, 종교, 및 가족형태였다. 산과적 특성 중 산후 자가 간호 지식과 신생아 양육지식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변수는 임신 주수, 임신력 이었다. 본 연구결과 결혼이민임신여성의 산후 자가 간호 지식과 신생아 양육 지식은 낮았으며, 산후 자가 간호 지식과 신생아 양육 지식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접근방식을 이용한 맞춤형 산전, 산후간호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postpartum self care knowledge and newborn baby care knowledge of immigrant women. Method: This study employed a descriptive-correlational design with 184 immigrant pregnant women who live in a certain region of Korea.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12.0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 The levels of postpartum self care knowledge in accordance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and Obste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country of origin, education, husband’s age, income, family type, gestation stage and gravidity. The levels of newborn baby care knowledge in accordance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and Obste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country of origin, education, income, gestation stage and gravidity. The mean score of postpartum self care knowledge and newborn baby care knowledge was 1.97(range:1-4) and 1.90(range:1-4).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postpartum selfcare knowledge and newborn baby care knowledge. Conclusion: Postpartum self care knowledge and newborn baby care knowledge of immigrant women were low. It need to develop prenatal and postpartum program for immigrant women.
1. 서론
2. 연구대상 및 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