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038.jpg
KCI등재 학술저널

KOSDAQ지수선물의 거래 부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ilure of KOSDAQ Index Futures Contracts

KOSPI200지수선물과는 달리 KOSDAQ지수를 기초로 한 KOSDAQ50지수선물 및 스타지수선물은 거래부진으로 상장 폐지되었거나 극히 저조한 거래량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 간 부진 사유로 지적되어 왔던 KOSDAQ지수선물의 헤징기능이 경쟁상품과 비교하여 실제로 열위한 지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유의미한 거래량이 존재하는 시기에 KOSDAQ50지수선물 및 스타지수선물의 헤징기능이 KOSDAQ시장에서 KOSPI200지수 선물에 비해 우수하여, KOSDAQ50지수선물과 스타지수선물의 주요 실패 원인으로 헤징효과의 부족을 지목할 수 없었다. 오히려 KOSDAQ시장의 개인거래 비중이 높은 점과 현물거래량과 선물거래량의 상관관계가 낮은 점을 기초로 헤지수요 부족이 실패의 더 중요한 원인이라는 추론 결과를 제시한다. 따라서 KOSDAQ 지수 선물시장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단순히 선물상품의 성격이나 제도를 개선하기보다는 근본적으로 헤지수요를 촉진시키는 것이 효과적인 정책방향이라고 본다.

Even though, historically, exchanges have put a substantial degree of efforts in developing and marketing new derivatives contracts to maximize their revenue, only a few have turned out successful in the following years. Unlike KOSPI 200 Index futures contracts, neither KOSDAQ 50 nor KOSTAR Index futures have shown viable trading volume ever since their introduc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if there exits significant difference in hedging performance between KOSDAQ index futures and their so-called competitor, KOSPI 200 Index futures contracts. Contrary to the existing perception, we cannot find compelling evidence that hedging effectiveness played major role in the failure of KOSDAQ contracts. Instead, weak hedging needs in KOSDAQ index markets seem to have a greater impact on success or failure in the corresponding futures markets. This leads to such policy implication that the exchange has to focus more on stimulating hedging demand rather than improving contract specification.

1. 서론

2. 연구방법론

3. 실증분석

4.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