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발전회사의 수익과 투입물의 관계에 대한 연구
The Relation between Inputs and Revenue of Korea’s Electric Power Generation Industry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1 No.5
-
2009.102637 - 2652 (16 pages)
- 이용수 11

초록
본 연구는 2001년 4월에 한국전력공사에서 분할한 한국수력원자력(주), 한국남동발전(주), 한국중부발전(주), 한국서부발전(주), 한국남부발전(주), 한국동서발전(주) 등 6개 발전회사의 2001년부터 2008년까지 8년 동안 개별회사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전력산업에 규모의 경제효과가 나타나고 있는지를 Cobb-Douglas 생산함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전체표본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영업비용과 설비자산은 발전회사의 수익창출에 기여하고 있으며 발전회사 전체적으로는 규모의 불경제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한국수력원자력을 제외한 5개 발전회사를 표본으로 하여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에서는 영업비용만이 수익창출에 기여하고 있었으며, 수익창출 능력에 비해 과도한 설비자산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전원별 발전용량비중이 수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수력비중, 유류가스비중과 석탄화력비중은 수익에 음(-)의 영향을, 내연복합비중과 원자력비중은 수익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정책 입안자들이 전력산업 구조개편 모델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발전회사의 규모를 증대시키는 정책은 비용절감 측면에서 정당화되기 어렵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there exist the economies of scale in Korea’s electric power generation industry by using Cobb-Douglas production function for the period 2001-2008. We analyzed the inputs and revenue data of six power generation companies (Korea Hydro & Nuclear Power Co., Korea South-East Power Co., Korea Midland Power Co., Korea Western Power Co., Korea Southern power Co., and Korea East-west Power Co.) split off from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in April 2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or the entire Korea’s electric power generation industry, operating expense and plant, property and equipments make contribution to revenue, and there exist diseconomies of scale. But, for the five power generation companies except for Korea Hydro & Nuclear Power Co., only the operating expenses make contribution to revenue, and there are excess capacities compared to revenue. Among the primary energy sources, water, oil and gas, coal have negative impacts on revenue, but internal-combustion and nuclear power have positive impacts on revenue. The insights gleaned from this paper can be helpful when regulatory authorities establish policies on electric power generation industry in Korea.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Ⅲ.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참고문헌 (0)
등록된 참고문헌 정보가 없습니다.
해당 권호 수록 논문 (45)
- 신용평점에서 성김화에 대한 스플라인 방법과 대화식 그룹핑의 비교
-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According to the Personality Type of Nurses on Egogram
- 연관불균형과 분할표의 관계에 대한 평가
- Analyze Cervical Cancer Relapse Using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보건계열 대학생의 에니어그램 성격유형과 건강증진행위 비교
- 한국영화의 흥행 결정요인에 대한 통합적 연구
- 부산시 표준지 공시지가 변화추이 분석 연구
- 중국의 수출성과와 FDI 유입에 대한 분석
- Comparison of Job Satisfaction Between Japanese and Korean Nurses
- 생산성 제고를 위한 효율적 작업관리정책
- The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s of Monetary Policy
- 대학 공동연구 프로젝트 관계 자료를 활용한 지식네트워크 분석
- 생활체육 참가자의 운동지속유형이 운동중독에 미치는 영향
- 상대적 운동강도가 척수앞뿔 손상쥐에서 NT-4/5와 IL-6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
- 안면마비 완화교육이 안면마비환자(Bell’s Palsy)의 안면마비상태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 A Note on the Modified Chebyshev Design in the Polynomial Regressions
- K-평균법에 의한 남한 강수지역의 구분 및 강수량 변동패턴에 관한 연구
- 학교부적응 검사와 BASC-2 검사 및 LCSI-C 검사와의 관계
- Forecasting Volatility of Korean Futures Market
- 생물계통수 추정을 위한 최대가능도와 베이즈 추론법의 비교
- 흥미도 측도로서의 오즈비와 상대적 위험도에 대한 탐색
- 충동성과 강조조건이 속도-정확성 교환작용에 미치는 영향
- 관광지 선택요인에 의한 동부산관광단지 개발에 관한 연구
- 올림픽 10종경기 기록에 관한 분석
- 부하의 상사신뢰에 상사행동특성의 인지적 요인과 감성적 요인이 미치는 영향
- 산욕초기 산모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산후 우울
- 밀도분포에 의한 부산의 다핵공간구조 변화 특성 분석
- An Analysis of Channel Distribution Efficiency in the Korean Insurance Market : Single versus Multi-Channel
- 균형조절치료가 직업 관련성 근골격계 질환자의 통증 및 CPK에 미치는 영향
- 비선형 회귀분석 모형을 이용한 서울지역에서 PM10과 사망자수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arsity and Top-N Recommendation in the Recommender System
- KOSDAQ지수선물의 거래 부진에 관한 연구
- 우측중도절단 자료에 의한 처리효과의 추정
- Short And Long Term Integration Relationship Between US And Eastern Asian Stock Markets
- 도시 경제활동인구에서 인터넷뱅킹 이용자의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성장기회와 부채비율 간의 관계 분석
- 축구선수의 경쟁불안 비교연구
- 국가수준 중학교 수학과 교과학습 진단평가의 문항반응 분석
- DB-DC CVM을 이용한 BEXCO 가치평가에 관한 연구
- 국내 발전회사의 수익과 투입물의 관계에 대한 연구
- 자연실업률 추정에 관한 소고
- 여성소비자의 사회인구학적 변수와 허영유형에 따른 성형요구분석
- 온라인 교육 커뮤니티를 통한 교사들의 지식공유 행동 결정 요인에 관한 구조방정식 모형 연구
- 사무소 건축물의 공조시스템 리모델링을 위한 CWM의 중요도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