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038.jpg
KCI등재 학술저널

여성소비자의 사회인구학적 변수와 허영유형에 따른 성형요구분석

Effects of Socio-economic Variables and Vanity Type on the Need for Aesthetic Surgery

  • 5

본 연구에서는 사회인구학적 변수와 허영 유형에 따른 성형에 대한 요구를 살펴보았다. 울산지역에 거주하는 500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SPSS WIN 12.0k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k-평균 군집분석, T-test, one-way ANOVA, MCA(multiple classification analysis)를 실시하였다. 군집분석의 결과 여성소비자의 허영 유형은 허영이 강한 집단(61.2%)과 허영이 약한 집단(48.8%)으로 나누어졌다. 신체 부위별 성형수술에 대한 여성의 요구 수준은 점과 흉터 제거 수술에서 가장 높았으나 전반적인 요구수준은 거의 보통이었다. 성형에 대한 요구는 연령, 결혼여부와 허영 유형에 따라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20대 여성이 50대 여성보다, 미혼 여성이 기혼 여성보다 성형에 대한 요구가 높았으며, 허영이 강한 집단이 약한 집단에 비해 성형에 대한 요구가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ocio-economic variables and vanity type on the need for aesthetic surger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500 female consumers in Ulsan. SPSS WIN 12.0k was used for data processing to do frequency analysis, Cronbach’s alpha, k-mean cluster analysis, one-way ANOVA, and MCA. Cluster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2 vanity types of the female consumers. 61.2% of the total sample were the vanity group and 48.8% were the Non-Vanity group. The mean of the removal of specks and scars appeared to be the highest, but the level was almost the midpoi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eed for aesthetic surgery according to age, marital status, and vanity type. The twenties group had more need for aesthetic surgery than the fifties. The non-married female consumers had more need for aesthetic surgery than the married. The need for aesthetic surgery among the vanity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on-vanity group.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문제와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해석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