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039.jpg
KCI등재 학술저널

안구운동 추적을 이용한 한글 오인문장 처리 과정의 이해

Understanding the Syntactic Ambiguity Resolution Processes of Korean Garden-path Sentences: An Eye-tracking Study

  • 180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문장 정보처리 과정을 살펴보기 위하여 안구운동의 추적을 이용하여 한글 오인문장을 읽고 이해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문장구조의 재분석이 필요한 오인문장과 재분석이 필요하지 않은 문장들을 읽을 때 나타나는 안구운동의 양상을 비교한 결과 문장이해 과정 중 초기 처리를 반영하는 안구운동의 측정치들에서는 오인문장의 경우와 그렇지 않은 조건들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문장의 복잡성을 이해하고 처리하는 것을 반영하는 측정치들과 문장정보의 재분석 과정을 반영하는 측정치들의 경우에는 오인문장의 경우에 더 오랜 응시시간과 응시빈도를 보였다. 이것은 한국어 오인문장의 이해시 영어의 경우와 유사하게 일단 부분적인 정보들을 이용하여 문장의 구조를 만들어 나가지만 영어와는 달리 적당히 만족할 만한 수준까지만 해석하지 않고 문장을 정확하게 재분석하려고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를 통해 안구운동의 측정이 한국어 문장의 이해 과정을 살펴보는데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

Readers experienc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when reading a garden-path sentence since incoming phrase does not fit the interpretation of the sentence developed up to that poi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solution processes of such difficulty in Korean garden-path sentences. Using eye-tracking during reading, the syntactic ambiguity resolution processes of the garden-path sentences were compared with the processes of the various control sentences. Various eye-tracking measures reflecting the initial processes showed that Koreans attach an incoming syntactic elements into the already developed interpretation. However, eye-tracking measures for the reanalysis processes showed that Koreans try to make full and accurate representation of the sentences instead of the just good enough comprehension suggested by Ferreira, Christianson and Hollingworth(2001). This study also showed that eye-tracking method can be effectively used to see the detailed on-line processing mechanism for the Korean sentence comprehension.

1. 서론

2. 실험

3. 결과

4. 논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