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039.jpg
KCI등재 학술저널

교차로 유형과 운전자 연령에 따른 운전 수행 및 생리적 각성 차이

Difference of Driving Performance and Physiological Arousal due to the Intersection Types and Age

  • 7

본 연구는 교차로 유형과 운전자 연령에 따른 운전 수행 및 생리적 각성의 차이를 살펴보고 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교차로 유형을 직진 차로에서 이탈하는 T1형, 직진 차로에 진입하는 T2형, 그리고 십자형 교차로로 구분하고, 각 교차로마다 좌회전과 우회전 시나리오를 12구간씩 구성하였다. 실험은 젊은 성인(younger adults)과 고령자(older adults)의 각 두 집단에서 행동측정치와 피부전기활동(Electro-Dermal Activity; 이하 EDA) 중 피부전도반응(Skin Conductance Response; 이하 SCR)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두 집단 모두 T1형에서 교차로를 더 빠르게 통과하였다. 또한 좌회전에서는 젊은 성인운전자가 고령운전자보다 교차로를 더 빠른 속도로 진입하여 더 빠르게 통과한 반면, 우회전에서는 교차로에 더 빨리 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리적 각성에서는 고령운전자의 경우 좌회전 십자형에서 안정 상태에 비해 회전상태의 SCR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젊은 성인운전자는 좌회전과 우회전 십자형 도로에서 안정 상태에 비해 회전상태의 SCR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차로 상황에 대한 위험성 지각에 있어서 고령운전자와 젊은 성인운전자가 서로 다를 수 있음을 의미한다. 고령운전자에게서 나타나는 십자형에서의 생리적 각성은 고령운전자가 보상운전 행동을 통하여 정면의 정보만을 주시하여 자신의 주의를 자신이 진입하려는 차선에만 두려는 경향성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결과는 고령운전자가 젊은 성인운전자에 비해 교차로에서의 사고위험성이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 of driving performance and physiological arousal due to the intersection types(T1, T2, Cross) and age. To accomplish this, the intersection types at the intersection were divided into 12 scenarios(type T1- separation at straight way, type T2-penetration into straight way, Cross-intersection). Passing the intersection as the measures of driving performance and physiological arousal(SCR of EDA) were measured by using two age groups, young and old adults. As a result, two groups were fastest type T1 intersection. At the left turn, young drivers approached and passed the intersection faster than older drivers. While at the right turn, younger drivers approached the intersection faster than older drivers. Physiological arousal of older drivers was increased only type cross left turn condition than base condition. The other hand, physiological arousal of younger drivers was increased left/right turn at the intersec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between younger and older adults of risk perception was different during the cross intersection. According to compensation driving behavior physiological arousal of type cross intersection of older drivers because that older drivers take heed only penetration into their lane. It suggested that older drivers could perform more risky driving behavior at the intersection than younger drivers.

1. 서론

2. 연구방법

3. 결과

4. 논의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