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신 개정안을 적용한 공무원연금의 파산확률 고찰
Default Probability of Government Employee Pension System Using the Recent Amendment in 2009
- 김건소(Gunso Kim) 송성주(Seongjoo Song)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2 No.1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0.02
- 319 - 332 (14 pages)
우리나라 최초의 공적연금제도인 공무원연금제도는 기대여명의 증가, 저부담ㆍ고급여의 구조적 불균형으로 연금의 지출이 늘면서 그 재정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와 관련기관에서는 공무원연금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 연금제도 개정을 진행 중이다. 본 연구는 공무원연금제도의 개정안이 연금재정에 어느 정도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개정안을 반영하여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생존분포의 모수모형 적합을 통한 확률적 구조모형을 적용하고, 개정안의 가정 하에서 기여요율의 변화와 기금수익률의 변화에 따른 파산확률도모의실험을 통해 알아보았다. 그 결과 현행안에 비해 개정안을 적용했을 때 파산확률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공무원 임용연령에 따른 총기여금의 크기와 총수령금의 기댓값 비교를 통하여 개인 간 형평성을 분석한 결과 총수령금의 기댓값이 총기여금에 비해 작아지긴 했으나 개인 간 형평성은 크게 개선되지 않았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financial soundness of the government employee pension system(GEPS) in Korea using the recent amendment in 2009. The recent amendment was introduced because of the financial difficulties that the GEPS faces recently. We use a model that simplifies the existing GEPS considering survival probability distribution of the life of employees. The expected net value of pension payment for an individual employee was calculated based on the supposed survival distribution and it was compared with the size of the life-long premium payment. Also, the default probability of the system in 30 years was computed from Monte-carlo simulation. The outcome reveals that the recent amendment will contribute much to the financial soundness of the GEPS. In most cases, the individual premium payment is greater than the expected net value of pension, and the default probability with the amendment gets much lower than that with the current system.
1. 서론
2. 공무원연금제도의 최근 개정안
3. 모의실험 방법
4. 모의실험 결과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