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미지 데이터를 활용한 도시중심가로 경관분석
A Urban Main Streetscape Analysis Using Image Data
- 김형보(Hyung-bo Kim) 박태진(Tae-jin Park)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2 No.2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0.04
- 1009 - 1019 (11 pages)
본 연구는 공간계획이나 경관계획에서 다루는 데이터의 취득 및 분석에 독창성과 시간 및 비용효율적인 새로운 접근방법과 분석에 있어서도 새로운 시도를 하였다. 본 연구목적인 데이터의저비용 고효율 간접적인 취득 방법과 경관분석의 새로운 틀을 제공하기 위해 ‘Google Earth’ 사이트를 통해 미국 뉴욕의 브로드웨이(Broadway), 프랑스 파리의 샹젤리제거리(Champs-lyses), 일본동경의 신쥬쿠(Shinzuku) 야스쿠니로(Yasukuni-Dori)를 대상으로 사적영역, 공적영역, 전체영역으로경관요소를 유형화하여 분석하였다. 사적영역과 공적영역의 분석결과 건축물의 매스, 파사드 측면에서 개방도 투시도, 간판면적 등의 LQ지수와 CV변동계수의 값이 지역별로 특화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전체영역에서는 하늘, 녹지, 도로, 사인, 가로장치물, 건축물 등을 이미지 컨버팅 작업으로 수치를 추출하여 분석한 결과 지역에 따라 LQ지수와 CV변동계수의 값이 그 도시의 특화의 정도를 나타내고 있다. 그 결과 지역의 특성에 따라 LQ지수와 CV변동계수는 지역의 특화정도와 각 요소간의 상대적 크기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수있었다.
An importance of scenes of cities are getting more crucial owing to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growth of the cities. These phenomenon which are associated with view of the street have had an positive effects, on the other hand, these have resulted in negative effects rather than positive ones due to dealing with scenes of the cities without enough preparing because of tending to consider only a design of an individual case and epidemicity when signboards and buildings are designed. However, the factor of views of the cities which is one of elements of them play a critical role. In order to cope with these negative factors, the developed countries are taken for instance by using ‘Google Earth’ data and then features and techniques of scene of the cities are analysed and evaluated by analysis and comparisons of them.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ses that the connection between features and faculties of each cities and factors of views of avenue by concreteness of them which are based on an image of the street that are abstracted from developed countries. As presenting the plans of improvement of them, the study will make progress of competition.
1. 서론 : 배경과 연구목적
2. 선행연구 분석
3. 연구의 틀 : 대상지 현황 및 Street View를 통한 분석요소의 추출
4. Street View를 통한 가로경관요소의 분석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