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귀인 성향에 따른 스트레스와 학교 적응의 차이 연구
A Study of Difference in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Locus of Control
- 감자영(Ja-Young Kam) 허균(Gyun Heo)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2 No.2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0.04
- 923 - 933 (11 pages)
본 연구는 귀인 성향에 따라 스트레스 및 학교 적응에 어떠한 실증적 차이가 있는지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497명의 초등학생들의 설문 분석 결과는 첫째, 성공 상황에서 귀인성향에 따른 스트레스는 학업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났다. 그리고 성공 상황에서내부귀인성향 학생이 외부귀인성향 학생 보다 학업 영역에서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는 것으로나타났다. 둘째, 실패 상황에서 귀인성향에 따른 스트레스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셋째, 성공 상황에서 귀인성향에 따른 학교적응은 총점 및 친구적응, 학습적응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성공 상황에서 외부귀인성향 학생이 내부귀인성향 학생보다 학교적응을 더 잘한다고 나타났다. 넷째, 실패 상황에서 귀인성향에 따른 학교적응은 친구적응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실패 상황에서 내적귀인성향 학생이 외적귀인성향 학생보다 친구 관계에서 적응을 더 잘한다고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ess and school adjustment by attribution tendenc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497 students in 4th through 6th grade of three schools were chosen and asked.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n terms of (a) stress by attribution tendencies under the situation of success, classwork was significantly much higher in the internal attribution tendency group. (b) stress by attribution tendencies under the situation of failure, each group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regarding the total and subordinate factors of stress. (c) school adjustment by attribution tendencies under the situation of success, the total score was significantly much higher in the internal attribution tendency group, especially in the friendship and school life, which are subordinate factors of school adjustment. (d) school adjustment by attribution tendencies under the situation of failure, the internal attribution tendency group in the friendship was significantly much higher.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