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041.jpg
KCI등재 학술저널

금연변화단계별 변화과정, 의사결정균형, 흡연유혹상황 및 금연각오의 차이

Differences in Processes of Change, Decisional Balance, Situational Temptation and Commitment to Quitting Smoking across the Smoking Cessation Stage of Change

  • 10

본 연구는 대학생을 위한 금연프로그램개발을 위해 금연하고자 하는 예비지원자의 흡연특성을 파악하고 금연변화단계별 변화과정, 의사결정균형, 흡연유혹상황 및 금연각오의 차이를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총 39개 학과 177명의 대학생이 참여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7.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와 ANOVA로 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금연변화단계는 금연을 막연히 계획하고 있는 단계에서부터 금연을 실행하는 단계에 이르기까지 다양하였다. 변화과정은 금연관련정보를 인식하는 의식상승변화과정(p=.045)과 자기 주도적 금연에 대한 확신이 나타나는자아해방변화과정(p=.006)에서 금연변화단계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금연변화단계별 의사결정균형은 흡연에 대한 긍정적 태도에서 차이가 있었으나(p=.017) 흡연유혹상황과 금연각오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금연프로그램의 개발은 개인의 금연행위이행이 다양한 변화단계에있음을 고려하여 각 단계별 행위변화 준비수준과 금연특성에 부합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할것이다.

Purpose: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processes of change, decisional balance, situational temptation and commitment to quitting smoking across the smoking cessation stage of change in applicants for university-based smoking cessation program. Method: Participants were 177 smokers or ex-smokers enrolled in a university.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and ANOVA. Results: the stages of change among participants were various. According to stages of chang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consciousness raising, self-liberation in processes of change and pros of smoking in decisional balances. There were no differences both in situational temptation and in commitment to quitting smoking. Conclusions: Developing smoking cessation program in university-based population may be adjusted to individual needs related to smoking cessation stage of change.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