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042.jpg
KCI등재 학술저널

기업 생산성과와 초과이익 결정요인 분석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irm’s Productivity and Abnormal Earnings

  • 24

초과이익에 관련된 대다수의 선행연구는 초과이익의 발생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고려 없이 블랙박스로 가정하고 있는데, 이는 다소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위에서 제시된 초과이익 생성과정에 대한 한계를 극복하는 방안으로 기업시장가치와 장부가치의 차이는 미래 초과이익의 현재가치에서 발생되고, 이러한 차이는 기업의 미래성장성을 유도할 수 있는 기업의 초과생산성을 자본시장에서 인정한다는 논리에 기초하여 기업생산성과와 초과이익의 관련성을 유도하고, 이를 바탕으로 또 다른 방식의 초과이익 결정모형을 검증하려고 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과이익 결정 모형에서 기업생산성과가 통계적으로 유의수준 1%에서 초과이익에 대한 설명력을 갖고 있고, 이러한 결과는 생산성과수준에 따라 초과이익의 규모가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기업생산성과에 대한 다양한 대리변수를 포함하여 분석한 결과 초과이익의 결정과정에서 가장 영향력이 높은 혁신변수는 본 연구에서 측정한 기업생산성과(FI)이며, R&D 변수의 경우 역시 기업생산성과와 차별적인 초과이익에 대한 설명력이 존재하는 것으로 실증증거가 제시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value relevance of firm’s productivity through their effect on abnormal earnings. This study aims to explore whether firm’s productivity, together with information from the financial statements, can explain an abnormal earnings. The role of firm’s productivity in creating value has become crucial in achieving a competitive advantage in the market. In this light, this article includes an firm’s productivity variable as part of the ‘other’ information specification, and aims to test whether accrual accounting information and ifirm’s productivity to the explanation of abnormal earnings. This is evaluated by comparing the explain of abnormal earnings between abnormal earnings based on capitalizing firm’s productivity and pure abnormal earnings. We argue that if abnormal earnings computed by firm’s productivity are more explain power than pure abnormal earnings. Empirical findings support our expectation; i.e. the explain power on firm’s productivity are greater for firms by including firm’s productivity than for firms with pure earnings.

Ⅰ. 서론

Ⅱ. 연구가설

Ⅲ. 연구방법 및 표본선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