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커버이미지 없음
KCI등재 학술저널

중학생의 성취 목적과 학업 동기가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chievement Goals, and Academic Motiv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among Junior-High School Students

  • 50

본 연구에서는 성취 목적(숙달, 수행접근, 수행회피), 학업 동기(내재적, 외재적, 무동기) 및 학업 성취가 어떠한 상호 관련을 갖고 있는지, 성취 목적이 학업 동기를 거쳐 학업 성취에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 대상은 서울시 5개 구에 소재한 5개 중학교 1학년 학생 291명이었으며, 이들 중 응답이 불성실한 학생들을 제외한 나머지 276명(회수율: 94.85%)을 최종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 평균 연령은 12.92세였다(SD=.34). 본 연구 결과, 학업 성취는 성취 목적 중 ‘수행접근’ 요인 및 학업 동기의 ‘외재적’ 요인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학업동기의 ‘무동기’ 요인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을 보였다. 성취 목적이 학업 동기와 학업 성취에 직ㆍ간접적으로 영향을 끼치는지를 살펴본 결과, 성취 목적 중 ‘숙달’ 요인과 ‘수행회피’ 요인이 학업 동기의 ‘무동기’ 요인을 거쳐 학업 성취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취 목적의 ‘수행접근’ 요인은 학업 동기의 ‘외재적’ 요인을 거쳐 학업 성취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취 목적의 ‘숙달’ 요인과 ‘수행접근’ 요인 모두 학업 성취에 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데 반해, 성취 목적의 ‘수행회피’ 요인은 학업 성취에 간접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볼 때, 청소년들이 숙달 지향적인 성취 목적을 지닐수록 학업에 대한 무관심의 정도가 낮아지는데 반해, 이들이 수행회피 지향적인 성취 목적을 지닐수록 학업에 대한 무관심의 정도가 높아지며, 이들의 학업에 대한 무관심의 정도가 높아질수록 학업 성취가 저하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청소년들이 수행접근 지향적인 성취 목적을 지닐수록 외재적 동기가 높아지며, 이는 곧 학업 성취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achievement goals, academic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the 291 junior-high school students, 276 completed and returned the questionnaire yielding a total response rate of 94.85%. They were enrolled in Grade 1 at six junior-high schools in Seoul, Korea. Their average age was 12.92 years (SD=.34). Measures of the achievement goals(mastery, performance-approach, performance-avoidance), academic motivation(intrinsic, extrinsic, amotivation), and school achievement were obtain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echniques were used to test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It was found that students mastery and performanceavoidance goals affected their achievement via amotivation; their performance-approach goals affected their achievement via extrinsic motivation; and students with mastery goals can facilitate them to lessen the degree of amotivation and to eventually improve their achievement. Students with performance-approach goals can facilitate them to increase the degree of extrinsic motivation and to eventually improve their achievement. Moreover, students with performance-avoidance goals can facilitate them to pursue the degree of amotivation and to eventually undermine their achievement.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are discussed.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