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형 마리나의 활동환경 및 운영활성화를 위한 속성평가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Attribute Evaluations for Invigorating Sport Style Marina’s Environment and its Operation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2 No.5
- : KCI등재
- 2010.10
- 2917 - 2934 (18 pages)
이 연구의 대상은 2009년 현재 울산 진하해수욕장을 이용한 경험이 있는 외국해양스포츠전문가 48명, 국내해양스포츠전문가 47명, 그리고 진하의 일부 주민 41명 등 총 136명이다. SPSS WIN Ver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매력속성, 활동환경 속성, 운영활성화 요인에 대한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t-test,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매력속성에 대한 성별의 차이에서 주유매력, 문화ㆍ도시매력에서는 남자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차이에서는 매력속성 모든 하위요인에서 50세 이상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집단별 차이에서는 매력속성 모든 하위요인에서 국내전문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마리나의 해양스포츠 활동환경 속성에 대한 성별 차이에서 자연환경요소에서 남자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차이에서는 활동환경 속성 모든 하위요인들에서 50세 이상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각 집단별 차이에서는 활동환경 속성 모든 하위요인들에서 국내전문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각 연령별 차이에서는 마리나의 운영활성화 모든 요인에 대한 하위요인에서 50세 이상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집단별 차이에서는 운영활성화 요인에 대한 모든 하위요인에서 국내전문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The research wa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of 136 people who have been to the Jinha Marina in Ulsan.; 48 international marine sport experts, 47 Korean marine sport experts, and 41 Jinha resi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Jinha Marina in Ulsan as a research model for the government plan of developing 19 Sport Marinas in the next 10 years. In doing this, it examines the differences of Jinha’s attraction attribute, environmental attribute of Marina development, and factors of Marina’s operational development, in order to consider ways to improve the government’s future plan for the new 19 sport marina centers. This study used SPSS WIN Ver 12.0, t-test and one-way ANOVA for data analysis.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