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044.jpg
KCI등재 학술저널

엘리트 여자 7종경기 기록에 대한 분석

An Analysis of Elite Women’s Heptathlon Performances

  • 12

여자 7종경기는 100m 허들, 높이뛰기, 포환던지기, 200m, 멀리뛰기, 창던지기, 800m를 순서대로 실시하며, 채점표에 의해서 점수를 매긴 후 총점을 기준으로 순위를 결정한다. 본 연구에서는 1991년부터 2009년 사이에 실시한 세계육상선수권대회와 2000년부터 2008년 사이에 실시한 올림픽경기의 여자 7종경기 결과를 이용하여 시간의 경과에 따른 기록변화, 군집분석 및 요인분석을 통해 종목간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표준화회귀계수를 이용하여 영향력이 큰 종목을 살펴보고, 다차원척도법을 이용하여 선수들의 분포와 종목들의 위치도를 작성하였다. 그 결과 엘리트 여자 7종경기 선수들의 경우에 요인 및 군집의 개수는 3개가 가장 타당하다고 간주되며 메달권에 속하는 선수들은 필드경기보다 멀리뛰기를 포함한 트랙경기에 좀 더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heptathlon is a track and field athletics competition made up of 7 events (100m hurdles, high jump, shot put, 200m, long jump, javelin throw, and 800m). Performance is judged on a points system in each event, not by the position achieved. In this paper, we compare with women’s heptathlon performances from the 1990s to 2000s. Also we use cluster analysis to determine the groupings inherent within the heptathlon disciplines. Heptathlon can be composed of three major factors using factor analysis. Multidimensional scaling is used to represent a set of unobserved but well-understood attributes that might be sufficiently exhaustive to explain heptathlon performance. In addition, it seems that a uniform relatively high performance in all individual disciplines is required to compete successfully at elite-level. Also athletes who perform better at the track disciplines including long jump may obtain an advantage to become medalists at women’s heptathlon world championships games.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데이터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