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044.jpg
KCI등재 학술저널

중년여성의 D 유형 성격과 자아존중감, 우울, 스트레스

Type-D Personality, Self-esteem, Depression and Stress in Middle-Aged Women

  • 28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D 유형 성격과 자아존중감, 우울, 스트레스를 확인하고 D 유형 성격에 따른 자아존중감, 우울 및 스트레스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특별시,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 지역에 거주하는 중년여성 526명이다. 대상자의 40.0%가 D 유형 성격으로 확인되었고, 자아존중감은 2.93, 우울은 12.36, 스트레스는 1.97이었다. D 유형 성격에 따른 자아존중감, 우울 및 스트레스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중년 여성의 자아존중감은 D 유형 성격에 해당하는 대상자에서 D 유형 성격에 해당하지 않은 대상자보다 더 낮게 나타났으며(t=9.45, p=.000), 우울과 스트레스는 D 유형 성격에 해당하는 대상자에서 D 유형 성격에 해당하지 않은 대상자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t=-8.59, p=.000; t=-7.06, p=.000). 본 연구를 통해 D 유형 성격이 중년여성의 사회심리적 건강상태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중년여성의 생애발달주기에 따른 특성 및 D 유형 성격에 해당하는 대상자들의 특성을 고려한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a cross sectional stud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ype-D personality, self-esteem, depression and stress in middle-aged women. The subjects were 526 middle-aged women living in Seoul, Gyeonggi-do, Chungcheong-do, Jeolla-do. Of the participants, 40.0% were classified as type-D personality. The mean score of self-esteem was 2.93, depression was 12.36, and stress was 1.97.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steem, depression and stress between type-D and non type-D(t=9.45, p=.000; .t=-8.59, p=.000; t=-7.06, p=.000). This study showed to draw a link between type-D personality and pyschosocial factor. Therefore, when developing programs to enhance health in middle-aged women,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ype-D personality.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