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체력강화 준비운동이 아동의 신체조성과 체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arming-up with Resistance Training on the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in Children
- 편미영(Mi-Yeong Pyeon) 곽이섭(Yi-Sub Kwak) 김현준(Hyun-Jun Kim)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2 No.6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0.12
- 3477 - 3491 (15 pages)
본 연구는 체력강화 준비운동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16주 동안 체력강화 준비운동과 정적 준비운동을 실시하여 신체조성과 체력의 변화를 비교ㆍ분석하였다. 실험 대상자는 초등학교 6학년 61명을 선정하여, 이들 중 42명은 체력강화 준비운동군, 19명은 정적 준비운동군으로 분류하였다. 16주 동안 주 3회의 같은 체육수업 내용에 체력강화 준비운동과 정적 준비운동을 그룹별로 달리 실시한 후의 신체조성과 체력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측정 결과 모든 대상자의 집단간의 신체조성과 체력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 체지방률(p<.05), 제지방률(p<.05), BMI(p<.05), 제자리 멀리뛰기(p<.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집단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학생 내에서는 신장(p<.01)과 제자리멀리뛰기(p<.01)에서 여학생 내에서는 윗몸일으키기(p<.05)와 제자리멀리뛰기(p<.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집단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체력강화 준비운동을 실시한 대상자 중 남학생과 여학생의 체력강화 준비운동 효과를 비교한 결과 신장(p<.01), 제자리멀리뛰기(p<.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집단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서 체력강화 준비운동은 체력강화 준비운동이 정적 준비운동보다 아동의 체지방률 감소, 제지방률 증가, BMI 감소, 제자리멀리뛰기(순발력)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warming-up with resistance training(10min/day, 3days/week, 16weeks) on the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in children. The subject was 61 children(experimental group 42, control group 19) at the S elementary school student.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at(p<.05), %LBM (p<.05), BMI(p<.05) and standing long jump(p<.01)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group in the total subject. The height(p<.01) and standing long jump(p<.01)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group in the boy group. The sit-ups(p<.05) and standing long jump(p<.05)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group in the girl group. In conclusion, warming-up with resistance training led to improve on the %fat, %LBM, BMI, standing long jump in children.
1. 서론
2. 연구 방법
3. 결과
4. 고찰
5.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