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045.jpg
KCI등재 학술저널

한국 펀드시장에서의 펀드 매니저의 주식선택능력 성과

The Performance of Fund Manager for Stock Selection Ability in Korean Fund Market

  • 12

본 논문은 2001년 1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능동적으로 관리되는 주식형 펀드 매니저의 주식선택 능력에 따른 보유종목기준 및 수익률기준 성과평가를 실증 검증한다. 본 논문에서 성과측정방법은 단일시장모형, FF-3요인모형, Carhart(1997)의 4요인모형이 사용되며, 젠센알파를 기초로 한 수익률 및 Daniel, Grinblatt, Titman and Wermers(1997)의 보유종목 정보를 기초로 한 주식선택능력(characteristic selection: 이후 CS)을 이용한다. 본 논문의 실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젠센 알파를 기준으로 한 수익률에서 펀드 매니저의 주식선택능력은 3가지 성과측정모형 모두에서 비정상적인 초과수익률, 즉 알파가 유의적으로 정의 값을 보여 펀드매니저의 주식선택능력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둘째, 보유종목을 기초로 한 CS을 사용하여 펀드매니저의 주식선택능력을 검증한 결과 낮은 CS, 즉 주식선택능력이 낮은 펀드매니저는 부의 초과수익률을 보였으며, 높은 CS, 즉 주식선택능력이 높은 펀드매니저는 정의 초과수익률을 보여 펀드매니저의 주식선택능력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whether Korean fund managers have stock selection ability based on fund raw return and portfolio holdings over November 2001 - December 2008 using actively managed equity fund data. Also the return based on Jensen alpha and the characteristic selection(CS) measure by Daniel, Grinblatt, Titman and Wermers(1997) from portfolio holdings are employed. This paper uses the single market factor model, Fama, French three factor model, and Carhart(1997) four factor model in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stock selection ability. Our analysis provides following results. First, based on the return of Jensen alpha, there is the stock selection ability of Korean fund manager from three performance measurement methods with the significantly positive abnormal return. Second, based on CS from the stock holdings, fund manager with low CS has low stock selection ability whereas fund manager with high CS has high stock selection ability, implying that there is the stock selection ability.

1. 서론

2. 주식선택능력 성과측정 방법

3. 표본 및 기초통계

4. 실증분석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