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074.jpg
KCI등재 학술저널

입학전형유형에 따른 전형요소 및 신입생 특성 분석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Admission Factors and First-Year Students Based on the Type of Admission

  • 76

대입제도는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여 개선되어 왔다. 최근 성적위주의 획일화된 평가를 탈피하고, 대학의 인재상을 고려하여 학생의 잠재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학생을 선발할 수 있도록 도입된 입학사정관제도는 사교육비 절감과 공교육정상화를 강조하며 학생부종합전형으로 정착되었으며, 대입전형 간소화를 위해 다양한 전형들을 학생부위주전형, 수능위주전형, 실기위주전형 등으로 유형화하고 있다. 이러한 경향에 따라 개선된 개별 대학의 입학전형은 전형유형별로 반영된 전형요소와 선발된 합격생의 특성을 고려하여 대학의 상황에 맞게 운용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5학년도 D대학의 전형유형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전형유형별 전형요소와 학업성취도의 관계 분석하고, 입학전형별 신입생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전형유형별로 전형요소와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를 분석하고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 전형요소는 학업성취도와 유의한 상관이 있었으며, 전형유형별 신입생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카이제곱검정과 Kruskal-Wallis H test를 실시한 결과 학생부(종합) 유형이 학업성취도, 학교생활적응도, 학교만족도, 잠재역량 등이 다른 유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각 전형별 전형요소의 반영비율 및 반영방법을 조정하거나 전형유형별 합격생의 특성을 고려하여 학생의 교육을 지원할 수 있는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For the purpose of simplifying university admissions, various admission types are classified into a school record oriented admission category, a CSAT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oriented admission category, a practical skill oriented admission category, etc. In order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admission type, this study has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mission factors and academic achievements by admission type.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mission factors and academic achievements by admission type, a meaningful correlation has been identified between the respective admission factors and academic achievements. As a result of the test which have been performed in order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first-year students, compared to other types, the admission based on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of school records has appeared to be relatively high in the areas of academic achievements, adaption to college life, college satisfaction, potential capabilities, etc. In light of the foregoing results,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so as to support education for students by way of adjusting the weighed rates or methods of admission factors or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elected students by admission type.

1. 서론

2. 2015학년도 D 대학의 입학전형유형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