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074.jpg
KCI등재 학술저널

1인 가구와 2인 이상 가구의 문화소비지출 추세비교 분석

Trends Analysis of Cultural Expenditure about Comparison between One-person Households and Two or More Person Households

  • 78

1인 가구의 증가추세에 따라 2010년에는 23.9%로 증가하였고, 2025년에는 31.3%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따라서 1인 가구의 소비지출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그러나 문화 관련 1인 가구의 소비지출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가계동향조사 품목 중 문화체육관광 분류체계로 46개 품목을 선정한 후 이를 다시 12개의 분야로 구분하였다. 1인가구와 2인 이상 가구의 문화관련 가계소비지출 차이를 비교하고 변화와 차이를 파악하고자 독립표본 t-test를 이용하여 횡단면적인 분석을 하였고, 계절 Kendall 분석과 Van Belle and Hughes의 추세의 동질성 검정을 이용하여 12개 각 분야의 시계열 추세 및 추세에 대한 동질성 검정을 함으로써 해당기간의 비교뿐만 아니라 시계열의 추세의 비교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추세분석은 2006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의 월별자료를 이용하였다. 문화 관련 1인당 소비지출에서는 영상음향과 출판 분야를 제외하고는 대체적으로 증가하였고, 문화서비스 분야만이 1인 가구의 소비지출이 더 많을 뿐 대부분 문화 관련 1인당 소비지출은 2인 이상 가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추세의 동질성 검정에서는 12개 분야 모두에서 12계절에 대한 추세가 각각 동질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서비스 등 5개 분야는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추세가 있으며, 출판은 감소 추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외는 두 집단 간의 추세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As the result of increasing one-person household, the figure reached 23.9% in 2010 and is expected to rise up to 31.3% by 2025. Although many studies on expenditure of one-person households have been conducted, there is very little research on cultural expenditure. In this paper, we extract 46 relating items from culture, sports and tourism classification out of the household survey issued by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d reclassified them into 12 categories. In order to compare difference on cultural expenditure between one-person households and two or more person households, we use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The homogeneity of trends of the two groups is analysed by Van Belle and Hughes s test. Expenditure of cultural consumption by the individual shows growing tendency with exceptions in the picture & audio and the publishing categories. One-person households spend more only on cultural service while two or more person households show higher expenditure on the others. We find homogeneity for 12 month of all 12 categories from the results of Van Belle and Hughes s test. Five categories including the cultural service show linearly increasing trends, whereas the publishing shows decreasing trend. The comparison on the other categories between two groups shows different trends.

1. 서론

2. 문화체육관광 가계지출동향과 분석자료

3. 연구방법

4. 1인 가구와 2인 이상 가구의 문화 소비지출의 변화

5.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