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학생활 스트레스, 소외감 및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College Life Stress, Alienation and College Adjustment: Focused on Transferred and Non-transferred Nursing Students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7 No.5
- : KCI등재
- 2015.10
- 2779 - 2793 (15 pages)
본 연구는 간호학과내 편입생과 일반재학생의 대학생활 스트레스, 소외감 및 대학생활 적응 정도를 조사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편입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은 2013년 5월부터 6월까지 6개의 대전, 충남지역 4년제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2, 3, 4학년 학생 중 연구 참여에 동의한 19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간호학과내 편입생과 일반재학생 간의 대학생활 스트레스, 소외감, 대학생활 적응 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두 집단 모두 대학생활 스트레스의 하위영역인 대인스트레스, 성취스트레스와 소외감과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편입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변인은 소외감과 대인스트레스였으며(F=23.478, p<.001) 설명력은 33.1%로 나타났다. 일반재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소외감, 성취스트레스 및 학년(F=33.624, p<.001)이었으며 설명력은 49.7%로 나타났다.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편입생의 경우 대인스트레스(=-.322, p<.001)가 부정적으로 나타난 반면, 일반재학생의 경우 성취스트레스(=-.300, p<.001)가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편입생의 대학생활 적응 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대인관계 측면에서 적응 지도나 적응지원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llege life stress, alienation, and college adjustment, and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n college adjustment of transfer and non-transfer nursing students.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s from 192 nursing students who were 2nd, 3rd, 4th years in six nursing colleges in Daejeon and Chungnam, from May to June 2013. Data was analyzed using t-test,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IBM SPSS 21. Differences between transfer and non-transfer students were not found in college life stress, alienation, and college adjustment in the two groups. Significant relationships were found among college life stress, alienation, and college adjustment in both groups. The result of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indicates that alienation and interpersonal stress predicts 33.1% in college adjustment in the transfer group. In non-transfer nursing students, alienation, achievement stress and grade explained 49.7% of variances. The varying factors influencing college adjustment showed inter-personal stress for the transfer group, and achievement stress for non-transfer group were negative. In conclusion, to enhance college adjustment for transfer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utilize a program that enhance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spects.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5. 결론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