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건교사의 교직선택동기, 교사효능감, 교직관, 학생과의 관계
Teacher’s Choosing Motivation, Teaching Efficacy, Philosophy,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in Health Teachers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7 No.5
- : KCI등재
- 2015.10
- 2751 - 2765 (15 pages)
본 연구는 서울, 인천, 경기지역 초·중등 보건교사들의 교직특성, 즉 교직 선택동기, 교직관, 교사효능감, 학생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보건교사들의 교직제반 특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더 나아가 향후 보건교사 관련 정책 개발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경기, 인천지역의 보건교사 직무연수에 참여한 대상자로서 서울 100명, 인천 50명, 경기도 50명으로 총 200명이었으며, 최종 136명(68.0%)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초등이나 중등 보건교사가 모두에서 교직관이 가장 높게 나오고, 학생과의 관계가 가장 낮게 나왔다. 또한 직업만족도가 높은 보건교사가 교직선택 동기, 교직관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왔으며, 중등학교 보건교사의 경우 18학급이하에 근무하는 보건교사가 37학급이상 규모에 근무하는 보건교사에 비해 교직관이 유의하게 높게 나왔다. 따라서 보건교사들의 자기철학 및 가치관, 학생과의 관계 등 교사의 전문성을 계발 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함께 보건교사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방안모색이 필요하며 아울러 학교규모에 따른 보건교사인력의 적정배치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levels of teacher’s choosing motivation, teaching efficacy, philosophy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of school nurses who are also health teachers and to provide fundamental materials to improve future teacher commitment. A descriptive survey design was used, and a convenience sample of 136 health teachers from Seoul, Gyunggi-do, and Incheon city was includ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administered from December 28, 2011 to January 28, 2012.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s,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Overall, the mean choosing motivation, teaching efficacy, philosophy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scores reported by the participants were moderate on a 5-point scale and the level of philosophy was highest. Primary health teachers showed higher scores on these four variables than secondary school health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further develop the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of health teachers. Therefore, in order to reinforce the commitment of health teachers, a mechanism promoting support and cooperation among teachers, such as a system for increasing teacher expertise and knowledge exchange among teachers, is needed for intellectual stipulation.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