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074.jpg
KCI등재 학술저널

간호학과 졸업예정자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관계에서 정보활용능력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Information Liter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mong Senior Nursing Students

  • 54

본 연구는 간호학과 졸업예정자를 대상으로 비판적 사고성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관계에 있어서 정보활용능력이 인과경로 사이에 놓여 두 변수의 관계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그 매개효과를 규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G광역시와 J도에 소재한 8개 간호학과 졸업예정자 311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이용하여 비판적 사고성향, 정보활용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대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Pearson 상관계수, 3단계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변수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변수들 간에 서로 유의한 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1).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은 정보활용능력(r=.637), 비판적 사고성향(r=.614)과 각각 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정보활용능력과 비판적 사고성향(r=.555)도 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판적 사고성향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의 관계에서 정보활용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근거로 할 때, 간호대학이 비판적 사고성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을 수립하고, 정보활용능력을 개발할 수 있는 체계적 교과과정을 구축한다면 궁극적으로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information liter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mong senior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convenient sample of 311 students at 8 nursing colleges in G city and J province through self-evaluation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WIN 21.0 program.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information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showed mediating effects between the senior nurs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For the effective improvement of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educational program including information literacy-increasing strategies should be established.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