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122.jpg
KCI등재 학술저널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감, 회복 탄력성 및 셀프리더십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lf-Efficacy, Resilience and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 on Subjective Happiness

  • 453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이 인식하는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G시에 소재의 4년제 간호학과에 재학중인 2-4학년 간호대학생 227명을 대상으로 2020년 5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주관적 행복감, 자기효능감, 회복 탄력성, 셀프리더십 도구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3.0을 이용하여 서술적 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과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이 인식하는 주관적 행복감은 7점 척도에 5.24±1.00점이었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주관적 행복감은 주관적 건강상태(F=15.07, p<.001), 학과 지원동기(F=3.00, p=.012), 성격(F=15.02, p<.001), 친구 관계(t=6.56, p<.001), 가족 구성원과의 관계(t=4.38, p<.001)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간호대학생의 회복 탄력성(t=4.68, p<.001), 친구관계(t=4.52, p<.001), 자기효능감(t=2.95, p=.004), 주관적 건강상태(t=2.72, p=.007), 학과 지원동기(t=-2.29, p=.023)는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회귀모형의 44.7%(F=31.427, p<.001)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이 인식하는 주관적 행복감 증진을 위한 방안 및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descriptive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influencing on subjective happiness of nursing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227 nursing students in grades 2 to 4 in G city from May 1, 2020 to June 30, 2020.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that contained items on subjective happiness, Self-Efficacy, Resilience, Self-Leadership scale.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WIN 23.0 program. The subjective happiness of the subjects averaged 5.24±1.00 on the 7-point scale, and the subjective happines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ubjective health status (F=15.07, p<.001), motivation for Entering college (F=3.00, p=.012), personality (F=15.02, p<.001), friendship (t=6.56, p<. 001), relationship with family members (t=4.38, p<.001).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on the subjects subjective happiness were Resilience (t=4.68, p<.001), friendship (t=4.52, p<.001), self-efficacy (t=2.95, p=.004), subjective health status (t=2.72, p=. 007), motivation for Entering college (t=-2.29, p=.023),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was 44.7% (F=31.427, p<.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provide a foundation to development of plans and an efficient intervention program to improve the happiness of nursing students.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