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122.jpg
KCI등재 학술저널

소부대 지휘관의 행동유형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Behavioral Style of Small Unit Commander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cusing on the Mediator Effect Trust

  • 22

본 연구는 전투상황과 훈련상황에서 소부대 지휘관의 행동유형이 신뢰 및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지휘관의 행동유형은 명확한 역할배정과 직무지시를 강조하는 구조주도적 유형과, 부하들과의 의사소통과 신뢰를 강조하는 배려적 유형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투상황과 훈련상황에서 구조주도적, 배려적 행동은 모두 조직유효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직무만족과 전투역량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휘관의 행동유형이 집단 응집성과 사기, 직무만족, 전투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검증한 결과, 전투상황에서는 구조주도적 행동이 전 요소에서 영향을 미쳤으며, 훈련상황에서는 구조주도적 행동은 집단 응집성, 배려적 행동은 사기, 직무만족과 전투역량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리더에 대한 신뢰의 매개효과는 구조주도적 행동은 조직 유효성의 모든 항목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배려적 행동은 전투상황에서는 직무만족, 훈련상황에서는 집단 응집성, 사기, 직무만족, 전투역량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dentifies the effect of small unit commander s behavior type on trus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combat situations and training situations. The behavior types of commander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structural-driven types that emphasized clear role assignment and job instruction, and caring types that emphasized communication and trust with subordina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oth structural-driven and caring behavior in combat situations and training situation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especially on job satisfaction and combat capability. Second,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verifying the effect of the commander s behavior type on group cohesion and morale, job satisfaction and combat capability, it was found that in combat situations, structural-driven behavior affected all factors, and in training situations, structural-driven behavior affected group cohesion, morale, job satisfaction and combat capability.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trust in the leader was shown to have a mediating effect on all items of organizational validity, but the caring action was shown to have a mediating effect on job satisfaction in combat situations, group cohesion in training situations, morale, job satisfaction and combat capability.

1. 서론

2. 이론적 논의

3. 연구모형 및 가설

4. 실증분석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