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073.jpg
KCI등재 학술저널

지체도 비교분석을 통한 도로건설사업 최적대안 연구

Study on Optimal Alternative of Road-Building Program by Delay-Comparison Analysis

  • 7

현재 우리나라의 교통정책이 철도중심으로 변해가고 있고, 전반적인 정책방향이 복지국가를 지향하면서 국가재정이 복지로 집중 투입되고 있다. 이로 인해 SOC 사업에 대한 국비지원이 감소되고, 복지예산 증가에 의한 지방정부 재정악화 때문에 지방도 건설사업은 계속해서 지연되고 있다. 그 중 국지도 60호선(생림~상동)은 사업기간이 당초보다 4년 이상 길어지고 있어 보상 및 재산권 침해에 따른 주민 불만이 커져가고 있다. 또한 주변에 계획된 도로망들이 예정대로 건설되면 60호선의 장래 통행량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도로건설 규모의 재검토가 필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지도 60호선(생림~상동) 건설사업을 대상으로 교통 수요예측 프로그램(EMME/2)과 교통류 시뮬레이션(VISSIM)을 이용해 목표년도의 예상 교통량 및 교차로 지체도 등 정량적 결과를 대안별로 도출하였다. 이를 근거로 통계적 검정을 통해 대안별 사업의 효과를 검토하여 최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도로부문 SOC 예산의 감소 추세에 맞춰 지방도 건설사업의 규모 조정을 판단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향후 다른 지방도 건설사업의 적정규모 검토 및 최적대안 평가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s the social paradigm has been focused on national welfare promotion recently, most of national finance has been continuously injected into the welfare state in Korea. It has caused the reduction in national expenditures for SOC projects and the prolongment of road-building period. Since construction period of the road like a local road 60 (SR~SD) has been delayed for over 4 years than original plan, people s complaint against compensation or property infringement is thriving more and more. As traffic volume of the road 60 will be distributed and decrease in future by adding other road network around, it will need to review road-building plan. In this study, it is possible for the traffic volume and the node delay of alternatives of the road 60 to be estimated in target year with EMME/2 and VISSIM : tools for travel demand modelling and multi-modal traffic flow simulation. Based on the statistical verification of these effects by alternative, optimal alternative is suggested. The purpose of the study helps to decide the modification of local road-building program in due consideration of the decrease of SOC budget.

1. 서론

2. 국지도 60호선 생림~상동 구간 및 주변 도로망 계획 현황

3. 적정 차로수 산정

4. 대안 설정 및 평균 지체도 예측

5. 대안별 효과 분석

6. 결론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