팀장의 윤리적 리더십이 팀원의 번영감에 미치는 영향: 팀 신뢰와 일의 의미의 다수준 매개효과
The Impacts of Ethical Leadership on Thriving at Work:The Meso-Mediating Effects of Team Trust and Meaningful Work
- 한국인사조직학회
- 인사조직연구
- 인사조직연구 제28권 제3호
- : KCI등재
- 2020.08
- 97 - 129 (33 pages)
번영감을 지각하는 조직원은 긍정적인 에너지와 발전하고 있다는 느낌을 바탕으로 주도적으로 직무를 수행하고, 삶 영역에서도 높은 만족감을 느끼는 것으로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번영감의 선행요인을 밝힌 여러 실증연구에도 불구하고, 조직적 혹은 개인적 차원의 선행요인들이 통합적인 관점에서 고찰되지 못했다는 한계점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번영감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선행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통합적으로 살펴보는 것은 이론적, 실증적으로 중요한 함의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번영감에 영향을 미치는 팀 수준 변인으로서 윤리적 리더십과 신뢰를, 개인 수준 변인으로서 일의 의미를 선정하여 다양한 선행요인을 규명하였다. 아울러, 사회적으로 배태된 모델(socially embedded model)을 기반으로 윤리적 리더가 팀 내 신뢰 관계를 형성하면, 팀 신뢰 속에서 조직원은 일의 의미를 확보하고 최종적으로 번영감을 지각하는 다수준(multi-level) 모델을 실증하였다. 이를 위해 해군 장병 324명, 78개 팀을 대상으로 윤리적 리더십 척도, 신뢰 척도, 일의 의미 척도, 번영감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Mathieu & Taylor(2007)가 제안한 다수준 매개효과(meso-mediation) 분석 절차를 기반으로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둘째, 팀 수준 변인인 윤리적 리더십이 팀 신뢰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나타내었으며, 개인 수준 변인인 일의 의미가 번영감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팀-개인 변인 간 교차 수준에서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윤리적 리더십이 번영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두 변인 관계를 팀 수준의 신뢰, 개인 수준의 일의 의미가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윤리적 리더십에 따른 팀 신뢰 형성이 일의 의미와 번영감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조직적 맥락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ethical leadership on thriving at work in the context of social embeddedness. We additionally aimed to examine the dynamics between team trust at the group level and meaningful work at the individual level by using a meso-mediation model and testing a series of hypotheses through multi-level variables. A total of 324 Korean navy personnel in 78 team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rough responses to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Ethical Leadership Scale, Interpersonal Trust Scale, Thriving at Work Scale, and Working as Meaning Inventor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HLM 8 (Bryk & Raudenbush, 1992) and the meso-mediation analysis procedure (Mathieu & Taylor, 2007).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ethical leadership, team trust, meaningful work, and thriving at work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Second, ethical leadership was positively related to trust at the group level, while working as meaning was positively related to thriving at work at the individual level. Third, the cross-level effects of ethical leadership and team trust were found on meaningful work and thriving at work. Finally, a meso-mediating model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ethical leadership and thriving at work was mediated by both team-level trust and individual-level meaningful work in the cross-level context. Based on this, implications for promoting thriving at work,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