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국내 자동차 리콜의 부품 수요 예측을 위하여 고려해야 할 요인들에 대해서 그 중요도 분석을 수행하고 있다. 리콜 부품 수요는 리콜의 타입에 따라서 수요 패턴이 달라질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리콜 타입을 분류하는 기준으로서 리콜 관련 요인들의 종류와 그 중요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자동차 부품 수요 예측을 위한 요인들은 선행 연구 검토와 델파이 조사를 통한 업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대상 차종의 특성, 리콜 관련 규모, 리콜의 발생 원인, 외부 환경 요인 등 4개의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요인들의 유형 분류와 도출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델파이 연구 방법을 수행하였고 추출된 리콜 수요 결정 요인들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을 위하여 AHP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AHP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분류의 속성 중요도 검증 결과 리콜 발생 원인이 리콜 수요 예측에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은 리콜 관련 규모, 외부 환경 요인, 대상 차종특성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중분류 속성 항목들에 대한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리콜 발생 원인중 3개 항목이 1~3위의 순위를 보여주고 있다. 치명성은 전체 중분류 항목들 중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 것으로 나타났다. 외부 환경 요인중 정부의 리콜 관련 정책강도를 제외하고는 대상 차량의 판매가격과 함께 전반적으로 상대적 중요도가 모두 낮은 것으로 나타나 리콜 수요를 결정하는 요인으로서 중요도가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은 딜러사 와 비딜러 두 집단 간 상대적 중요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딜러사와 비딜러의 경우 모두 전체 결과와 마찬가지로 리콜 발생 원인의 상대적 중요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대상 차종 특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두 집단에 대한 분석 결과에서는 리콜관련 규모의 가중치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이유는 두 집단간 업무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로서 자동차 리콜 수요를 결정하는 요인들은 리콜의 주요 원인, 리콜 차종의 주력 차종 여부, 리콜 대상 수량, 리콜 유형(자발적 리콜/강제적 리콜), 경쟁사 리콜 여부, 기간별 리콜율, 경기 상황 등과 같은 요인들인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요인들은 리콜의 타입 별 부품 수요 예측 모형을 추정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리콜 수요 요인들을 토대로 다양한 리콜 타입을 분류하고 각 타입 별 부품 수요의 패턴을 추정할 경우 좀 더 정교한 리콜 부품 수요 예측 모형을 추정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priority among factors to consider in predicting the demand for parts for automobile recalls in Korea. The pattern of demand for recall parts depends on the type of recalls.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various factors behind recall as the basis of classification of recall types, and their relative priority. Researchers reviewed the prior study and used the Delphi method to seek industry experts’ opinions, and classified the factors for predicting demand for automobile parts into four main categories: properties of target vehicle models, size of recalls, cause of recalls, and external factors. We used the Delphi technique to identify the categories of factors, and applied AHP to analyze the relative priorities of identified factors. The process and the result of the AHP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among the four main categories, the cause of recalls was found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the size of recalls, external factors, and properties of target vehicle models. Analysis of sub-categories showed the three items under the main category “cause of recalls” ranked the 1st,2nd, and 3rd in terms of importance, on the list of all factors. Fatality is found to be the most critical factor among all sub-category items. Except for the strength of the government’s recall policy, external factors are found less important, along with the sales price of target vehicles, in determining recall demand. Different perception of priorities between dealers and non-dealers was also analyzed. The analysis showed that both dealers and non-dealers find the cause of recalls as the most important, and properties of target models as the least important, which is in line with the overall survey result. However, the two groups apply different weights to the size of recalls, probably because of the difference in what they do. This study concluded that the determinants of recall demand include major reasons for recall, whether the recalled vehicle is a flagship model, the number of recall vehicles, type of recall (voluntary or mandatory), whether competitors are doing a recall, the rate of recall by period, and economic situation. These factors will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on estimating the prediction model for part demand by type of recalls. If recall types are classified and the demand pattern per type is estimated based on the various factors identified through this research, a more accurate model of recall part demand will become possible.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