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특산물 시장에서 차별화된 브랜드를 통한 부가가치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농·특산물은 지역의 중요 자원이자 지역경제 활성화의 핵심 요소이다. 시장 개방과 함께 수입 농산물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국내 농산물이 경쟁력을 갖기 해서는 차별화된 브랜드 전략과 소비자의 신뢰를 통한 부가가치 증가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안동 지역문화자원을 중심으로 안동사과 브랜드 적합도를 살펴본 결과, 권정생의 동화『몽실언니』를 활용하여 브랜드를 개발하면 지역의 정체성과 고유성이 담겨 타 브랜드와 차별성을 가지며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분석되었다. 권정생의 사회공헌적인 삶과 소설 속 몽실언니의 이미지를 활용하여 안동사과는 ‘착한사과’라는 의미를 담아, 소비자는 ‘착한소비’를 통해 기부문화에 동참할 수 있도록 고려하였다. 이에 따라 안동사과를 ‘몽실언니사과’로 브랜드 네이밍 하였다. 브랜드 네이밍에 따른 BI는 소외된 것들에 때한 따뜻한 시선이 느껴지도록 하였다. 전체적으로 분홍색과 연두색으로 편안함과 희망적인 메시지를 전하며, 착한 이미지가 연상되도록 하였다. ‘몽실언니사과’는 문화적 특성을 살린 지역 본연의 브랜드로서 타 지역의 사과브랜드에 비해 비교 우위를 지니며, 농산물의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The importance of added value through differentiated brands is increasing in the agricultural and specialty product markets. Agricultural and specialty products are important resources of the region and key elements of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In the face of the growing number of imported agricultural products along with the opening of the market,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increase the value added through differentiated brand strategies and consumer confidence if domestic agricultural products are competitive. To that end, this study examined the suitability of Andong s local cultural resources and analyzed that if Kwon Jung-saeng s fairy tale Mongsil Sister is developed as a brand, it can secure competitiveness by differentiating itself from other brands. With Kwon Jung-saeng s social contribution life and Mong-sil s image in the novel, Andong apple means a good apple, and considered allowing consumers to participate in donation culture through good consumption. Accordingly, Andong Apple was named Mongsil Unni Apple . BI according to the brand name made people feel the warmth of the marginalized. Overall, pink and light green colors convey comfort and hopeful messages, reminiscent of a good image. Mongsil Unni Apple is a local brand that utilizes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it has a comparative advantage over apple brands in other regions and can secure competitiveness.
1. 머리말
2. 이론적 고찰
3. 안동사과 브랜드 개발의 실제
4. 맺음말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