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전기(2011~2040), 중기(2041~2070), 후기(2071~2100)로 구간을 나누어 미래의 대설 취약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취약성 분석을 위해 400년 제어 적분한 RCP 2.6, 4.5, 6.0, 8.5 시나리오 기반의 자료를 이용하였고 74개 기상관측소 자료를사용하였으며 관측소가 없는 지역의 경우 Thiessen 면적법을 이용하여 값을 적용하였다. PSR 구조체계로 세부지표를 분류하였고엔트로피 가중치 계산방법을 이용하여 취약성 분석을 위한 가중치를 계산하였다. 미래의 대설 취약성 분석이기 때문에 세부지표선정에 있어서 사회 및 경제적 요소를 포함하기에는 어렵다고 판단되어 예측된 기상자료와 인구추이만을 이용하여 세부지표를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각 구간 및 시나리오별 대설에 취약한 순위를 도출해낼 수 있었고,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해 장기적으로대설취약성이 감소하지만, 세종특별자치시와 서해안을 중심으로 인구증가 및 적설심 증가로 인한 취약성 증가도 예측할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대설 방재사업을 실시할 경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Snow vulnerability analysis was implemented using 400 years of controlled RCP 2.6, 4.5, 6.0, and 8.5 scenarios in the following divided periods: the former period (2011-2040), middle period (2041-2070), and later period (2071-2100). Data from a total of 74 meteorological stations were used and the Thiessen polygon method was applied in the areas without stations. The indicators were classified into the Pressure-State-Response (PSR) structure, and the weight for vulnerability analysis was calculated using the entropy method. As snow vulnerability analysis was implemented for the future scenarios, it was difficult to determine social and economic factors as indicators; thus, only predicted weather data and population trends were considered. As a result, the rankings for snow vulnerable areas were determined for each period and scenario. Overall, snow vulnerability would decrease due to the decrease in long-term heavy snowfall in climate change scenarios. However, increased snow vulnerability is also expected in Sejong-si and the western coastal area due to a rise in population and snow depth in the future. Based on this, disaster prevention project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in the future could be implemented.
1. 서 론
2. 분석방법
3. 분석결과
4.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