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178.jpg
KCI등재 학술저널

공유주방 서비스품질이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Quality of Shared Kitchen Service on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adjustment effect of brand recognition

  • 1,186

본 연구는 공유주방의 서비스 품질이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브랜드 인지도가 공유주방의 서비스 품질과 이용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수행하는지를 파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가설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유주방 서비스품질이 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는 주방시설품질, 운영관리 품질, 인큐베이팅 프로그램 품질이 이용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브랜드 인지도가 공유주방 서비스품질과 이용만족도 사이에 가지는 조절효과에 대해서는 주방시설품질이 유의적인 정(+)의 조절효과가 있고, 인큐베이팅 프로그램 품질은 부(-)의 조절효과가 있었다. 공유주방은 외식관련 사업을 준비하는 예비창업자, 종사자들에게 효율적인 주방공간과 설비 및 기기가 잘 갖추어진 시설을 제공하는 공간지원서비스와 사업운영에 도움이 되도록 업무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공유주방이 공유경제의 성공적인 모델로 자리잡고, F&B 비즈니스 플랫폼으로서 성장하기 위해서는 공유주방 업체의 경영자와 관리자는 이용자에게 만족을 줄 수 있고, 개별 업체의 차별화된 공간과 업무지원 서비스와 신뢰감주는 브랜드 인지도와 전략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of shared kitchen on service satisfaction, and to find out whether brand recognition performs adjustment effect in relation to service quality and service satisfaction of shared kitche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impact of the quality of the shared kitchen service on the satisfaction of us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the quality of kitchen facilities, the quality of operation management, and the quality of incubation programs. Second, for the adjustment effect between the service quality of the shared kitchen and the satisfaction level of use, the quality of the kitchen faciliti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adjustment effect, and the quality of the incubation program had a negative adjustment effect. The shared kitchen is designed to provide space support services and business support services to prospective entrepreneurs and workers preparing for restaurant-related projects to provide efficient kitchen space, facilities and well-equipped facilities. In order for the shared kitchen to grow as an F&B business platform, the managers and managers of the shared kitchen company will have to be satisfied with the users and have a brand strategy to differentiate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companie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