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쥐 대장 모델에서 자가팽창형 금속형 스텐트 삽입을 통한 삽입술의 유용성과 조직 과증식을 평가하고자 한다. 먼저 C57BL/6 쥐 대장의 직경을 확인하기 위해 1마리의 대장 투시조영 사전 실험을 실행하였다. 평균 직경은 4.05 mm였다. C57BL/6 쥐들은 두 군으로 나누어 각각 다른 스텐트의 직경을 비교 평가하였다. A 군은 직경이 5 mm, B군은 4mm 였다. 추적관찰 검사는 매주 투시를 통해 스텐트 삽입의 이상유무를 평가하였다. 4주 후 내시경적 검사를 시행하고 희생하여 육안적 관찰 및 H&E 염색을 통해 조직 과증식을 평가하였다. 스텐트 삽입술은 시술 중 천공이 일어난 1마리를 제외하고 모든 쥐에서는 성공적으로 삽입되었다. 해당 데이터는 본 실험에서 제외하였다. 추적관찰 실험 기간에 A군에 속한 5마리의 쥐는 스텐트 삽입 후 7일 이내에 천공에 의해 사망하였다. B군의 1마리의 쥐는 곧창자로 스텐트의 이동이 발생하였다. A, B 군에서의 합병증은 각각 60%, 10%로 나타났다. 육안적 내시경적 결과에서는 모든 군에서 스텐트 와이어사이로 전체적인 조직 과증식이 일어남을 확인하였다. 조직병리에서의 결과 또한 두 군 사이의 통계적 차이는 유의하지 않게 조직 과증식이 일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장 스텐트의 삽입술은 기술적으로 유용하게 삽입이 가능했으며, 스텐트에 의한 조직 과증식이 쥐 모델에서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스텐트 사이즈의 증가에 따라 쥐 대장내 천공이 많이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stent placement and the evaluation of tissue hyperplasia caused by bare metallic stent placement in a mouse colon model. In a pilot study, C57BL/6 mouse were used to verify diameter of colon. Mean diameter size was 4.05 mm. Twenty C57BL/6 mice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o assess differing stent diameters (Group A, 5 mm diameter; Group B. Group B, 4 mm diameter). Follow-up, 1-week fluoroscopic imaging, 4-week endoscopic imaging were obtained. Mice were sacrificed 4-week after stent placement. Microscopic findings were evaluated. Stent placement was technically successful except one mouse in Group A. Data from the mouse was omitted. During follow-up, five mice in Group A died within 7 days after stent placement, and one stent in Group B was migrated into the rectum. The incidence of stent-related complication was 60% and 10% between group A and Group B, respectively. Gross and Endoscopic findings showed tissue hyperplasia through the mesh, and all the stents had become incorporated into the wall of the colon. Microscopic findings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lonic stent placement was technically feasible, and stent-induced tissue hyperplasia was evident in a mouse model. With stent large size, there was the highest incidence of colon perforation.
Ⅰ. INTRODUCTION
Ⅱ. MATERIAL AND METHODS
Ⅲ. RESULTS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
Refer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