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058.jpg
KCI등재 학술저널

중국의 미국 국채 보유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Empirical Investigation on the Views on the Chinese Holdings of the U.S. Government Debt

  • 36

본 연구는 90년대 후반 이후 급증하고 있는 중국의 미국 국채 보유에 대한 결정요인을 실증분석을 통해 고찰하고자 한다. 최근 중국의 막대한 대미 무역흑자가 지속되는 배경으로써, 90년대 이후 두드러진 달러 리싸이클링 현상을 지목하는 견해가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견해는 중국이 대미 무역흑자를 통해 획득한 달러로 미국 국채를 매입함에 따라 달러가 다시 미국으로 유입되었으며, 이로 인해 미국의 중국 수입품에 대한 구매가 지속되었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반면, 중국의 미국 국채 보유 확대는 외환보유고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 여타 금융자산 대비 상대적 수익률을 고려하여 미국 국채를 매입한 결과라고 보는 견해가 있다. 본 연구는 달러 리싸이클링 관련 견해와 외환보유고의 효율적 관리 견해라는 서로 다른 두 견해를 공적분과 벡터오차 수정 모형의 추정을 통해 비교 분석한다. 본 연구의 공적분 분석 결과 미국 국채의 상대적 수익률, 중국의 대미무역수지, 중국의 미국 국채 보유량은 장기적으로 균형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벡터오차수정모형의 충격반응 분석 결과 미국 국채의 상대적 수익률은 중국의 미국 국채 보유량에 대해 동태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중국의 대미무역수지는 중국의 미국 국채 보유량에 동태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장기적 균형관계 측면에서 볼 때 달러 리싸이클링 견해와 효율적 외환보유고견해 모두 타당하나, 동태적 관계 측면에서 볼 때 효율적 외환보유고 견해가 달러 리싸이클링 견해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타당하다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This study examines and compares two different views about recently rapid rise of Chinese holdings of the U.S. government debts since late 1990s. First view is that such a rise in Chinese holdings of the U.S. government debt can be due to the so-called dollar recycling, part of global imbalance phenomenon represented by large trade surplus of China against the U.S. Another possible view of Chinese holdings of the U.S. debt is that China has purchased the U.S. government debt for the purpose of efficient management for its large foreign reserves. By using cointegration and vector error correction methods, we intend to find out which of the two perspectives is more consistent with the ongoing issue, the Chinese holdings of the U.S. government debt. Our cointegration approach reveals that relative return rate of the US debt, Chinese trade surplus, and Chinese holdings of the US debt are in the long run equilibrium relation. In addition, the vector error correction analysis shows that shock to relative return rate of the US debt results in significant effect on the Chinese holdings of US debt while Chinese trade surplus against the US exhibits no significant impact. In overall, the evidence suggests that dynamics of Chinese holdings of the U.S. government debt can be mainly attributed to efficient management of foreign reserves rather than the dollar recycling.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연구동기

3. 자료 개요 및 분석 결과

4. 결론

References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