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058.jpg
KCI등재 학술저널

응급실 간호사의 공감피로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Compassion Fatigue of Emergency Department Nurses

  • 75

본 연구는 응급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공감피로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공감피로 완화와 업무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전국 9개 권역응급의료센터의 응급실 간호사 14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공감피로는 외상 사건 경험, 성격유형, 상태불안, 스트레스 대처 전략과 유의한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성격유형은 상태불안, 스트레스 대처 전략과 유의한 정적상관관계를, 스트레스 대처 전략은 사회적 지지와 유의한 정적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상태불안과 사회적 지지는 유의한 부적상관관계를 보였다. 대상자의 공감피로 영향요인은 성격유형, 외상 사건 경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은 응급실 간호사의 공감피로를 27% 설명하였다. 따라서 응급실 간호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불안정도를 감소시키고 외상 사건 경험 후 심리적 지지 및 상담 등의 관리 프로그램을 통해 공감피로를 완화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Purpose :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compassion fatigue in emergency department nurses. Methods : The respondents were 142 emergency department nurses. Date was collected from July 27 to September 20, 2011 at nine reg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Win 18.0 program and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Scheffe,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Results : Compassion fatigue of nurses in emergency departmen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raumatic events, personality type, state anxiety, and stress coping strateg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27% of the variance for compassion fatigue was significantly accounted for by personality type and traumatic events.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we should consider the personality type of work assignment for nurses and develop the coping and counseling program with traumatic event for nurses in order to decrease compassion fatigue.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