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만성 간질환 환자의 삶의 질 영향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5 No.1
- : KCI등재
- 2013.02
- 223 - 236 (14 pages)
만성 간질환은 대부분 증상 없이 간경변증이나 간암으로 진행되기 때문에 진단 후 질병의 심각성과 근본적인 치료 접근성의 제한으로 이들의 삶의 질은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만성 간질환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이와 관련된 간호요구를 파악하고 간호중재 개발의 지침을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2012년 9월부터 10월까지 약 2개월 동안 부산, 경남 소재 300병상 이상의 6개 종합병원 소화기내과에 입원한 만성 간질환 환자들을 대상으로 일반적 및 질병관련 특성과 삶의 질, 우울,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자가간호수행 등을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 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본 연구 대상자의 삶의 질 정도는 만성 간염환자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의 결과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대상자의 삶의 질에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은 우울이었으며, 그 외 자기효능감과 간질환 가족력 변수가 포함되어 총 71.8%의 설명력을 보였다. 만성 간질환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우울을 감소시키고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이고 효과적인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간질환 가족력과 같은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개별적인 간호중재가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quality of life among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 The research wa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design using questionnaires. The participants were 106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 in six general hospitals. SPSS statistics 19.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data.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quality of life by job, family history, past experience of admission and complication. A negative correlation existed between quality of life and depress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quality of life revealed that the most powerful predictor was depression. Depression, self efficacy and family history explained 71.8% of the variance. The results indicated a need to promote quality of life with these participants. The findings also suggest that consideration be given to characteristic of family history in developing strategies for decreasing depression and enhancing self efficacy.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