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팸 스코어카드 개발을 위한 문항 분석
Study on the Questionnaire for Developing the Spam Score Card
- 정형철(Hyeong Chul Jeong)
- 한국자료분석학회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 Vol.15 No.1
- 등재여부 : KCI등재
- 2013.02
- 133 - 143 (11 pages)
본 연구에서는 스팸체감을 측정하는 지표를 개발하고 이들 지표를 측정하는 여러 항목 중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변수를 Cronbach 알파계수로 선택하는 방법을 다루었다. 우선, 스팸체감 정도를 계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다섯가지 지표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지표는 크게 (1) 체감 수신량 (2) 증감체감정도 (3) 스팸 인지 (4) 스팸 감정 (5) 스팸 행동의 5대 항목이다. 여기서, 체감 수신량은 1개의 항목, 증감체감정도는 2개의 항목, 심리적 태도는 각각 3개의 소항목을 지닌다. 개발된 설문문항의 계량적 측정을 위해 리커트 척도화 과정을 거쳐 각 항목의 최대값이 50점이 되도록 하였다. 또한 계량적 측정에 대한 타당성을 평가하고 어떤 문항이 중요한 문항인가의 판단과 더불어 문항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Cronbach 알파값을 계산하였다. 또한, 중요도-상관도 그림을 통해 다섯 가지 항목의 포지셔닝을 살펴보았다. 중요도-상관도 그림을 통해 휴대전화 스팸에서는 감정부분이 이메일 스팸에 비해 높게 나타남을 볼 수 있었다.
In this research, we have developed the indicators to measure the spam feel index and to find the leading variable for the indicators by using the Cronbach’s alpha values. First, we defined the characters of spam feel index which is organized into 5 indicators including feel receive amount, variation feel degree, re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 The concept of feel receive amount is composed of one sub-item, concept of variation feel degree is two sub-items, and concept of psychological attitude is three sub-items. Each indicators made the grade the values of questionnaire measured by Likert scale on a scale of 50 points. Next, we compute the Cronbach’s alpha to find the characters of spam feel index and to assess the content validity. Finally, in cell phone spam case, the feel emotion indicator is located on the high position than email-spam case based on average-correlation plot.
1. 서론
2. 체감 지표 구성
3. 문항분석
4. 지표별 연관성
5. 결론 및 시사점
References